학부모들 사이에 신종 ‘등골브레이커’가 등장했다. 너도나도 타기 시작하는 고가(高價) 자전거 열풍이다. 대당 가격이 40~50만원에 이른다. 수백만원대를 호가하는 자전거도 있다. 과거 일부 동호인들 사이에만 유행하던 고가 자전거가 학생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지는 것이다.
자전거의 고급화는 필연적으로 부대용품 고급화로 이어진다. 20만원짜리 점퍼에서 십수만원에 이르는 헬멧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자전거와 복장까지 갖출 경우 100만원 이상의 돈이 들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러다 보니 고가 자전거 절도 사건이 빈발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972건이던 자전거 절도가 3월에 1천30건으로 늘었다. 6월에는 다시 2천467건까지 치솟았다. 겨울에서 봄, 다시 여름으로 이어지는 계절적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비정상적인 범죄 증가 추세다.
더 큰 문제는 절도 피의자의 80%가 10대 청소년들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상당수는 ‘금품 절도’보다는 ‘갖고 싶어서’라고 범행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학생들 사이에 고가 자전거 열풍이 자전거 절도라는 형사범죄로까지 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당수 시군에서 공공 자전거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좋지 않다. ‘공공 자전거는 지저분 하다’거나 ‘볼품 없다’는 평이 많다. 행정기관이 신중히 받아들여야 할 여론이다. 공공자전거는 전시용이 아니다.
실제로 시민들이 탈 수 있어야 한다. 깨끗한 관리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비치하는 자전거도 양에 비중을 두다 보니 지나치게 저렴한 자전거 일색이다. 최소한 아이들이 부담 없이 탈 수 있는 정도의 제품으로 교체해 나갈 필요가 있다.
자전거를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도 필요하다.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광장에서 자전거 축제가 열린다. 서울시는 이 행사에 ‘자전거 벼룩시장’을 운영한다. 자전거 완제품은 물론 부품들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시민에게 제공한다는 목표다. 해봄직한 시도다.
학교별ㆍ지역별 단체 구입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군이 직접 마련해도 되고 관련된 산하기관이 주도하도록 해도 된다. 어차피 자전거 도로 건설과 자전거 보험에 많은 돈을 들여온 지자체들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