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흡연률.
20대 여성 10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는 등 흡연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소식지인 ‘금연정책포럼’ 최근호(9월호)에 실린 ‘여성 흡연의 현황과 정책방향’에 따르면 한국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지난 2008년 이후 6% 안팎에서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성인 여성 흡연율은 지난 2008년 7.4%, 지난 2009년 7.1%, 지난 2010년 6.3% 등으로 낮아지다 지난 2011년 6.8%, 지난 2012년 7.9%로 올라간 뒤 지난 2013년 6.2%로 다시 떨어졌다 지닌해는 5.7%로 더 내려갔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지난 2008년 12.7%까지 올라가고 지난 2009년 11.1%, 지난 2010년 7.4%, 지난 2011년 10.4%, 지난 2012년 13.6%, 지난 2013년 9.1%, 지난해 8.9%로 떨어졌다.
한국 여성의 흡연율은 OECD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OECD 헬스(Health)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15세 이상 흡연율은 4.3%로 OECD 평균인 15.7%보다 한참 낮았다.
프랑스(20.2%)나 영국(19.0%)의 5분의 1 등의 수준이었으며 일본(8.2%)의 절반 정도였다.
오유미 국가금연지원센터 정책연구부장은 “여성이 남성보다 니코틴 보조제에 대한 반응이 적은 점도 금연에 걸림돌이 된다”며 “여성의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