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크 신경 쓰이네… 은행 ‘비대면 서비스’ 강화

스마트폰으로 자산관리 ‘척척’ 모바일 버전 개발·관련 앱 개편
인터넷·전화 금융서비스 만전

은행권에서 인터넷전문은행 등장에 대비해 스마트폰으로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전문상담사가 고객의 자산현황에 따라 금융 상품을 안내해주는 ‘스마트 맞춤제안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기존에는 영업점을 방문해 제안서를 직접 받아야 했지만, 인터넷 뱅킹을 통해 제안서를 받고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했다.

또 신한은행은 은퇴설계시스템인 ‘에스(S)-미래설계’의 모바일 버전도 출시해 운영 중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 등장을 대비해 은행 고유의 업무인 자산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며 “탄탄한 서비스로 고객만족을 추구한다면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후에도 고객이탈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은 그룹 내 계열사 스마트금융 서비스를 통합한 ‘KB금융그룹 앱’을 개편, 출시했다. KB국민은행, KB국민카드, KB생명보험, KB캐피탈, KB저축은행 등 주요 계열사들의 앱을 KB금융그룹 앱 내 ‘KB스토어’에서 쉽게 내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앱을 통해 계열사별 주가정보, 재무정보, 공시자료 등 각종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NH농협은행과 KEB하나은행도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NH농협은행은 ‘NH디지털뱅크’를 통해 경쟁에 대비할 계획이다. NH디지털뱅크는 핀테크 기업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NH핀테크 오픈플랫폼’과 인터넷, 전화, 스마트폰 등 모든 비대면 채널을 통해 정보를 분석, 고객 개개인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금융센터’를 통합한 개념이다.

KEB하나은행은 비대면 마케팅 채널을 혁신한 ‘원 스탑(One Stop) 금융플라자’ 신설을 준비하고 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원 스탑 금융플라자를 통해 홈페이지 채팅 상담, 이메일을 통한 펀드, 재무상담 등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비대면 전문 상담인력을 양성해 고객서비스를 강화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