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단체, 이동권 보장 요구에… 사흘만에 멈춘 2층 광역버스

“장애인석 확보하라” 운행 막아 道 “추가 도입 버스엔 적극 검토”

제목 없음-1 사본.jpg
▲ 26일 경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원들이 서울시청 앞 정류장에서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8601번 2층 광역버스 운행을 막고 있다.
경기도가 국내 처음으로 도입한 2층 광역버스 운행이 장애인 단체 반발로 사흘 만에 전면 중단돼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26일 오전 7시께 ㈔경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소속 회원 20여명은 서울시청 앞 정류장에서 김포운수 8601번 2층 광역버스 운행을 막았다.

 

이들은 “2층 버스에 전동휠체어가 탑승해 버스 내에서 휠체어를 돌릴 수 없으니 차량을 개선하고 장애인석 4석을 확보해 달라”며 “저상버스 예산도 10%밖에 반영되지 않아 30%까지 올려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 운행비 확대 지원 등도 촉구했다.

 

이로 인해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대체 교통편을 이용하는 등 월요일 출근길에 불편을 겪었다.

 

이에 도와 김포시 관계자가 현장에 나가 장애인 단체의 요구 사항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해산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양측 간에 협상이 이뤄지지 않아 2층버스 운행 중단 사태가 장기화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도입된 2층버스는 스웨덴 볼보사에서 제작돼 스웨덴 장부 당국의 안전 등 여러 분야에 대해 인증을 받아야만 들어올 수 있어 현 상태에서는 개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하지만 앞으로 2단계로 들어올 2층버스에 대해서는 장애인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 제작해 도입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도 “장애인 단체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스웨덴 볼보사의 재조사 결과, 차량 전복 등 안전상 위험이 우려된다”며 “당장 개선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추가 도입 버스에는 장애인 단체의 요구 사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학ㆍ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