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방향 소통 비상벨·방범용 CCTV 운영
범죄취약 지역 어두컴컴… 야간 ‘무용지물’
비상상황에 대비해 인천 전역에 설치·운영 중인 비상벨·방범용 CCTV가 정작 이용객의 눈에 띄지 않아 개선이 요구된다.
28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1대당 800여만 원 가량의 설치비와 연평균 1억 5천만 원의 유지·보수 비용을 들여 5천여 대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비상벨·방범용 CCTV를 설치·운영 중이다.
위급상황에 이용객이 비상벨을 누르면 CCTV가 자동으로 비상벨 방향을 비추고, 해당 영상은 군·구에 설치된 관제센터로 전송되며 설치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군·구별 평균 500여 대가 설치돼 있는데도 홍보 부족으로 이용객들은 비상벨이 어디에 설치돼 있는지 몰라 비상벨을 통한 긴급상황 신고 등은 전무한 실정이다. 부평구의 경우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비상벨을 통한 범죄 신고는 단 1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일선 지자체는 위급상황 발생 시 누구나 이용 가능토록 비상벨을 1.4m 이내로 설치하고 표지판을 통해 이를 안내하고 있지만, 비교적 어두운 우범지대를 중심으로 설치돼 야간에는 이용객이 쉽게 찾을 수 없다.
부평 2동에 사는 A씨(42·여)는 “집 근처에도 비상벨이 설치돼 있다는 것을 최근에야 알았다”며 “보이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야간에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조명이나 경광등을 달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한 관계자는 “점차 예산을 확보해 비상벨 주변을 환하게 하는 LED 안내판을 설치 중이다”며 “야간에도 누구나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개선하고 홍보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