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자사주 11조3천억 매입 ‘전량 소각’… 주주친화 경영 ‘시동’

삼성전자가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사상 최대 규모인 11조3천억원의 자사주를 매입해 전량 소각키로 했다.

삼성전자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특별 자기주식 취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총 11조3천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해 소각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1회차로 30일부터 3개월간 4조2천억원의 보통주 223만주와 우선주 124만주를 사들여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1회차 매입에서 우선주 비중을 35%로 한 것은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22% 가량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수량의 주식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라며 “우선주 주가가 보통주보다 10% 이상 낮으면 우선주 매입 비중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ㆍ소각 결정으로 주주가치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애플ㆍ구글 등 글로벌 IT기업에 비해 배당성향 등 주주친화정책이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관련 업계는 삼성전자의 이같은 결정을 놓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주주친화경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주가를 부양하고 배당을 늘려 주주들에게 더 나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이재용식 주주친화경영의 핵심이다.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ㆍ소각 계획과 더불어 향후 3년간의 주주 환원 계획도 발표했다. 연간 발생하는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30~50%를 배당과 자사주 매입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매입한 자사주는 마찬가지로 전량 소각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하고,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1조6천800억원과 7조3천9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부문은 3조6천6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실적 상승을 견인했지만, 주력부서인 IM(IT모바일) 부문 영업이익은 2조4천억원을 기록해 지난 2분기(2조7천600억원)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가 늘어나면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됐고,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를 확충하면서 서버용 D램(컴퓨터 기억장치) 수요가 많이 늘어나 반도체 부문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평가했다. 

IM부문 실적 감소에 대해서는 갤럭시S6와 S6엣지 모델 가격을 내리고 중저가 제품 비중이 확대되면서 판매량은 늘었지만, 평균판매가격(ASP)은 오히려 하락해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이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