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높이려다… 제동 걸린 ‘김포 한강시네폴리스’

복합용지 늘린 토지이용계획안

김포시와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의 수익에만 집착한 과도한 욕심이 한강시네폴리스 조성사업에 찬물을 끼얹었다.

 

1일 시에 따르면 시와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은 지난 2011년 승인된 한강시네폴리스 사업계획에 대해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주거용지와 상업ㆍ업무시설용지 등 복합용지를 늘려 조정한 토지이용계획변경안을 올해 초 경기도에 상정했으나 최근 도는 ‘재심의’ 결정을 내렸다.

 

이는 사실상 반려로 시와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이 계획한 변경안을 승인할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어 한강시네폴리스 개발사업에 막대한 차질이 예상된다.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은 지난해 개정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반산업단지인 산업시설용지를 대폭 줄여 37.7%로 잡고 주거용지를 17.9%로 늘리는 등 상업지원시설 5.5%, 공공이용시설 36.3% 비율로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해 올초 도에 승인을 요청했다. 변경안은 상업시설과 당초 800여세대로 계획된 공동주택을 4천700여세대로 늘려 수익성이 낮은 산업시설용지의 리스크를 줄여 수지타산이 맞도록 조정됐다.

 

하지만, 지난달 27일 열린 경기도 지방산업단지계획승인 심의위원회 통합심의에서 한강시네폴리스 토지이용계획변경안이 ‘재심의’ 의결됐다. 상업지원시설과 주거용지 등 기반시설용지의 비율이 산업시설용지보다 많다는 이유에서다. 당초 승인된 일반산업단지의 목적에 맞게 산업시설용지를 조정하라는 주문이다.

 

이로써 시와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이 아파트와 상업ㆍ복합업무시설 등을 많이 지어 수익성을 높여 투자유치와 PF(Project Financing) 등 양질의 재원을 마련하려던 계획이 물거품이 될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시와 (주)한강시네폴리스개발은 당초 2011년 일반산업단지로 승인된 사업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처지에 놓여 토지보상 공고까지 나간 시점에 재원마련이 원할하지 못할 경우 토지주들의 반발 등 적지 않은 사업차질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변경안이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개정 취지를 다소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심의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한 토지이용계획변경안을 다시 제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시네폴리스 조성사업은 2017년 말까지 고촌읍 향산리와 걸포동 일대 112만1천㎡에 1조95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문화콘텐츠와 첨단기술이 융합된 창조형 미래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