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지자체 등 2만6천693면 운영 허리띠 졸라매지만 한해 18억원 적자
주간 8만여대·야간 10만대 불법주차 단속 건수 하루평균 1천200여건 불과
인천지역 내 공영주차장이 연간 십수 억 원씩 적자 운영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와 산하 시설관리공단, 일선 기초자치단체 및 산하 시설공단 등은 지역 내 591곳 총 2만 6천693면의 공영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영주차장이 매년 적자 운영되는 등 수지가 맞지 않다. 시 도시교통특별회계를 통해 관리되는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수입은 연평균 39억 8천여만 원 수준인데 반해 인건비 등 공영주차장 운영에 쓰이는 돈은 무려 57억 9천여만 원에 달해 매년 18억여 원이 적자다.
시와 지자체가 공영주차장 무인화 등 운영비의 56%를 차지하는 인건비를 줄이는 등 운영비용 절감에 허리띠를 졸라매 연평균 14.6%씩 운영비용을 줄이는데도, 공영주차장의 수익금이 지난해 27% 급감하는 등 매년 21%씩 큰 폭으로 감소해 지속적으로 운영 수지가 악화되고 있다.
특히 시민의 미숙한 주차문화와 지자체의 주차단속 부실 등이 이 같은 공영주차장의 적자 운영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인천에서 모두 46만여 대가 불법 주차로 단속됐는데, 이를 인천 차량 등록 대수와 비교하면 무려 41.9%에 달하는 수치다. 즉 인천 차량 10대 중 4대가 불법 주차로 단속된 셈이다. 지역별로는 부평구가 62.4%로 가장 높았고 중구가 56.2%, 남동구가 46.9%로 인천 평균을 웃돌며 불법 주차가 심각하다.
이런데도 지자체의 단속은 미약하다. 하루 지역 내 불법 주차는 주간이 8만여 대, 야간은 10만여 대에 달하지만 정작 주차 단속 건수는 하루 1천200여 건 수준에 그치고 있다. 견인조치도 중구가 단속 차량의 15%를 견인했을 뿐, 나머지 지자체는 모두 한자릿수 견인율(전체 평균 6%)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가 공영주차장과 관련한 정책을 전면 재수정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역 및 주차장별 특성을 분석해 이용률을 높이는 한편, 급지 체계 등의 재조정, 공영주차장 주변의 강력한 주차 단속·견인조치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우선 주차정보 및 회원제 조정 등 이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