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기후산업 발전 전략 토론회 송도 ‘클러스터’ 최적지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글로벌 기상·기후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최적 입지라는 분석이 나왔다.

 

4일 송도국제도시 G 타워 대강당에서 열린 기상·기후산업 발전 전략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강길모 한국기상산업진흥원 산업진흥본부장은 “국내 기상산업 규모가 확대됐지만, 기상기업 대다수가 영세하고 전문인력 수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면서 “대한민국에도 기상기후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진흥원의 국내·외 기상산업 동향 분석을 보면 아시아 기상산업 시장은 오는 2020년까지 26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최근 5년간 국내 사정은 등록 기업 수가 연평균 42.6%(현재 총 293곳) 증가했으나, 매출액은 연평균 6.7% 감소하는 등 정체돼 있다.

 

정 본부장은 “정부투자, 장비 및 연구시설 인프라, 전문인력 등 3박자를 갖춘 클러스터를 조성해 국내 기후변화 피해 감소와 미래 먹을거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제2발제자인 정용종 인천시 녹색기후정책관은 인천 송도를 클러스터 최적 부지로 꼽았다. 정 정책관은 “인천시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장기계획을 이미 수립했으며, 특히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등 국제기구가 둥지를 튼 송도는 앞으로 기상·기후 산업 허브로 부상하기 위한 여건을 충족했다”고 설명했다.

 

변순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 최재본 한국기상산업협회 부회장, 전성우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등 토론자도 송도 입지 여건에 동의를 표했으며,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R&D) 및 투자 등 보완책과 ‘국립기후과학관(가칭)’ 등 대시민 홍보·체험·교육기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동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