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거구 획정, 유·불리 계산법 경기도 유권자가 비웃는다

정치권이 선거구 획정 유·불리 셈법에 정신없다. 선거구 획정 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다. 특히 경기도를 두고 튕기는 주판알이 치열하다. 정치적 색채가 뚜렷한 영ㆍ호남 지역과 판이한 정치적 성향 때문이다. 여야가 막판까지 벌이는 신경전도 들여다보면 경기도 판짜기가 핵심이다. 대체로 경기지역의 선거구 획정이 내년 총선 승패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정치권 전체의 의견이 같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획정에 따른 유·불리 셈법이란 게 나온다. 경기도의 경우, 수원·용인·남양주·화성·군포·김포·광주에서 1석씩 총 7석이 늘어날 걸로 예상된다. 정치권은 대체적으로 야권에 유리한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말하고 있다. 택지개발로 교육과 생활 여건이 개선되면서 30∼40대의 젊은 유권자가 유입돼 인구가 늘어났다는 것이 이유다. 용인 쪽 예측은 조금 다르다. 분당에서 노년층이 유입돼 여권이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맞는 말인가. 수원의 예를 보자. 16대 총선에서 수원은 야권이었던 한나라당 남경필 박종희 신현태 의원이 싹쓸이했다. 영통 지역구가 신설된 17대 총선에서는 여권이었던 열린우리당 김진표 심재덕 이기우 의원이 이겼다. 여당과 야당, 진보와 보수를 극단적으로 오갔던 두 번의 선거였다. 그 후 18대와 19대 총선은 각각 2곳씩 황금분할 구도를 이어오고 있다. 이런 기본적 수원 정서를 무시한 채 6개월 뒤 유ㆍ불리가 얘기되고 있다.

용인ㆍ남양주ㆍ화성ㆍ군포ㆍ김포ㆍ광주도 마찬가지다. 과거의 흐름이나 현재 인구 분포 등 어느 것 하나 통일된 법칙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한마디로 경기도의 표심은 언제든 한쪽엔 일방적 참패를, 반대쪽엔 일방적 압승을 가져다줄 수 있다. 물론 황금분할의 기막힌 구도로 결론지을 가능성도 똑같이 상존한다. 이것이 경기도 유권자의 표심이다. 그러니 지금 정치권 주변에서 쏟아내는 셈법에 많은 도민들이 실소를 금치 못하는 것이다.

6개월 뒤 표심은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경기도의 표심이 전국 단위 선거의 결과를 늘 좌우해왔다. 부질없는 경기도 표심 예측에 매달려 선거구 획정에 멈칫거려선 안 된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과감하게 나누면 된다. 행정조직과 최대한 부합할 수 있도록 나누면 된다. 표는 그런 연후에 나누어주는 점수로 가져가는 것이다. 경기도 여론은 6개월 뒤 보여줄 무시무시한 결과에 대해 아직 빙산의 일각도 내보이지 않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