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 열리자… 다시 시작된 ‘그들만의 밥그릇 싸움’

선거구획정 시한 D-3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쟁으로 올스톱됐던 국회가 9일 새정치민주연합의 복귀로 일부 정상화되자마자 내년도 총선 선거구획정을 위한 각 지역 의원들의 밥그릇 싸움이 재연됐다.

지역구 의석수를 둘러싼 이같은 지역별 치킨게임 양상 속에 여야 지도부는 10일부터 선거구 획정 논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경북지역 장윤석·이철우 의원 등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북을 선거구 조정의 희생양으로 내몬다”며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여당의 협상안에서 경북 지역 의석수가 기존 15개에서 13개로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전남·북, 경북 등 지방 5개 시도를 평균인구로 획정하면 국회 정개특위와 획정위가 1~2석 과다대표되고 있다고 하지만 오히려 헌재 결정 취지에 따르면 경북은 2~4석이 과소대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문에는 경북지역 14명의 의원 중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과 최경환 경제부총리 등을 제외한 11명의 의원이 동참했다. 이병석 위원장은 이날 지역구 의석 14곳을 늘리고 연동형 비례제를 도입하는 여야 절충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그동안 야당이 주장했던 비례대표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다시 일었다.

 

참여연대는 이날 내년도 총선과 관련해 국회 정개특위에 ‘비례대표 의석 확대’를 재차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논평을 통해 “현재 300석 중 54석, 18%에 불과한 비례대표 의석 규모로는 유권자의 표심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며 “1천만표의 사표를 되살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회갈등을 조율하기 위해서는 비례대표 확대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빠르면 10일부터 여야 지도부가 선거구획정에 대한 논의에 들어간다.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중재 아래 회동을 갖고 20대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 확정시한을 오는 13일까지 의견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여야 원내 수석부대표와 국회 정개특위 여야 간사가 10일 먼저 만나 선거구 획정안 협상과 관련한 의제를 조율하고 여기에서 접점이 마련되면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 원내수석부대표, 정개특위 간사가 참여하는 ‘4+4 회동’을 가질 계획이다.

 

김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가장 시급한 것이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 양당이 기준을 합의해 선거구획정위원회로 넘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도 “(실무 협의에서) 방안들이 조금 좁혀지거나 몇 가지 선택 가능한 방안이 마련되면 이른 시일 내에, 당장 내일 저녁이라도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함께하는 4+4 회동으로 밤을 새워서라도 마무리 지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으로 멈춰섰던 선거구획정 관련 논의가 여야 당 지도부의 직접 협상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해 시한을 맞추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 선거구 획정 지연에 따른 예비후보자 등록 무효 등의 혼란도 예상된다.

 

김재민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