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기 의원, 농업·농촌 새판짜기 구조조정 주장

제20회 농업인의 날을 맞아 새누리당 경기 의원들이 경쟁력있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농업·농촌의 새판짜기 혹은 구조조정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병국 의원(여주·양평·가평)은 11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2013년 이후 3년 연속 대풍이 들었지만 쌀 소비량 감소와 가격폭락으로 농민들의 억장은 무너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정부 양곡창고에는 적정량 80만t보다 많은 136만t이 재고로 쌓여있다”면서 “과잉 재고보관 비용으로만 연간 1천760억원, 쌀 보관을 위한 전체비용은 무려 연간 4천300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쌀 생산량은 2005년에 비해 올해 10.7%가 줄었지만 1인당 쌀 소비량은 2005년에 비해 지난해 19.3%가 줄었다”며 “소비를 감안해서 쌀 경작 면적을 대폭 줄여나가는 공급 조절 대책과 농촌·농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구조조정해 경쟁력 있는 농촌을 만들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9일 ‘농업·농촌 창조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던 전하진 의원(성남 분당을)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농업을 창조경제 신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농식품 R&D 예산은 2008년 5천709억원에서 지난해 8천934억원으로 63% 증가했지만, 곡물 자급률은 40%대에서 20%대로 반토막이 났다”며 “실효성 있는 농업 투자 없이는 세계시장을 선점해 나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세계 IT기반 정밀농업과 첨단농업의 시장규모는 약 10조원에 달하고, 2017년까지 28조원에 달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ICT 기술을 농업에 접목시켜 세계 시장을 개척하고 농업을 창조경제 신산업으로 육성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