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공천관리위 구성 추진에 서청원 “룰도 없는데 무슨 소리”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화성갑)이 16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등 공천방식을 놓고 충돌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구획정이 법정 시한(11월13일)을 넘기면서 총선 준비에 혼란을 겪는 점을 감안, 여당만이라도 준비를 서두르자는 취지에서 총선 준비에 필요한 내용을 보고받을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황진하 사무총장(파주을)이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와 정치 신인에 당원명부 공개, 조기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등 검토한 내용을 보고했다.
그러자 친박계 좌장격인 서 최고위원이 “지금 무슨 소리를 하느거냐”며 강한 불만을 터트렸다.
서 최고위원은 “순서가 틀렸다.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공천룰도 특별기구도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무슨 공천관리위 구성이냐, 어떻게 룰이 없는 경기를 하느냐”고 비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논의를 해보자는 건데 그런 것을 갖고 왜 화를 내느냐”고 말하자 서 최고위원이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서 최고위원은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공천룰도 확정되지 않았고, 선거구 획정도 되지 않은 상황인데 이런 마당에 공천관리위를 두고 어디에 가서 어떻게 운동을 하라는 거냐”며 거듭 비판했다.
반면 김 대표는 공천기구 구성에 관한 질문에 “할 말이 없다”며 언급을 삼갔다.
이날 갈등은 김 대표가 조기 공천관리위를 구성해 공천룰과 공천관리를 동시에 하자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는 조기 공천관리위 구성이 김 대표가 공천주도권을 쥐려는 의도로 보기 때문에 일어났다는 해석이 많다. 이에 따라 공천 논의가 본격화할 수록 양측간 충돌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김재민기자
野평가위, 현역물갈이 세칙 마련 비주류 “세부 배점기준 제시를”
새정치민주연합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가 현역 의원들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내년도 총선에서 하위 20%를 공천에서 배제하는 이른바 ‘물갈이’를 위한 시행세칙을 마련한 가운데 세부세칙 등을 놓고 내부 반발이 일고 있다.
조은 평가위원장은 16일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당 혁신위원회가 발표한 평가방안을 토대로 준비한 ‘평가 시행세칙 제정의 건’을 보고했다.
시행세칙에 따르면 우선 현역의원 평가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원을 대상으로 각각 진행하되 하위 20%에 포함되면 공천 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키기로 했다.
지역구 의원은 당 혁신위원회의 제시안대로 의정활동·공약이행 35%, 선거기여도 10%, 지역활동 10%, 다면평가 10%, 여론조사 35%의 비율로 평가가 진행된다.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경우 의정활동(70%)과 다면평가(30%)로 평가가 이뤄지며 하위 20%에 포함된 비례대표 의원이 지역구를 신청하더라도 원천배제 대상에 포함된다. 그러나 평가위가 구체적인 평가항목과 세부적인 배점기준 등을 평가위 자체 의결로 정하도록 해 논란이 뒤따르고 있다.
이날 최고위원회에서는 세부적인 평가위 배점이나 평가 기준 등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계파간 논쟁이 빚어졌다. 특히 비주류를 중심으로 하위 20% 물갈이 규정 자체가 부당하다는 비판 여론이 확산됐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세부적인 항목이나 배점기준을 만들어와야 하는데 그것을 평가위에 위임해달라는 것은 안 된다”며 “평가위가 지난 15일 간 아무 것도 진일보한 세칙을 만들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조은 평가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평가항목을 손을 봐야 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만 결정할 수 있다”며 “부대조항이나 어떤 방식으로든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