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硏 합동 조사
미군 “과거부터 화생방 대비” 구체적 자료 요청엔 묵묵부답
지난 5월 ‘탄저균 배달사고’가 발생한 평택 오산미공군기지에서 탄저균 실험이 과거에도 수차례 진행돼 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 8월6일 열린 ‘오산 미공군기지 탄저균 관련 한미 합동 실무조사단’에 참여했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A팀장에 의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양근서 의원(새정치민주연합ㆍ안산6)은 18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 보건환경연구원 A팀장에게 “당초 조사에서 미군의 탄저균 실험이 이번이 처음인지 아니면 과거에도 있었는지를 조사 했느냐”고 물었다.
이에 A팀장은 “미군이 주피터(통합 위협인지) 프로그램에 의한 탄저균 실험을 한 것은 처음이라고 했다”며 “과거에도 탄저균 실험을 했는지 미군에게 묻자 ‘한국군도 화생방에 대비하고 있지 않느냐. 우리도 거기에 대해서 대비한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이 답변으로 당시 현장에서는 미군이 이전에도 유사한 탄저균 실험을 수차례 해 왔다는 것으로 인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A팀장은 이 사실을 공식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의 설치 목적과 지금까지 시행된 실험 종류, 횟수 등의 자료를 요청했으나 아직까지 미군 측 답변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의료폐기물 분류되는 피복류, 장갑 등 당시 실험실에서 사용했던 도구를 처리한 국내 업체에 대해서도 자료를 요청했지만 이 역시 아직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팀장은 “탄저포자가 액체 상태여서 대기로 날아갈 가능성이 없을 뿐더러 공기가 밖으로 나갈 때 거르는 필터도 실험실에 설치돼 있었다”며 “실험실 싱크대에서 무엇을 버릴 만한 시약 등이 없었기 때문에 하수구로 유입됐을 가능성도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앞서 국방부와 질병관리본부, 합동참모본부, 의무사령부, 외교부 등 9개 기관으로 꾸려진 오산미공군기지 탄저균 합동 실무조사단에 참여해 8월6일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에서 탄저균 유출과 관련해 현장 조사했다.
당시 실무조사단은 시간대별로 실험실 내부와 장비, 실험 방법 등을 파악하고 미군과 2시간 여동안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정부는 애초 9월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지연되고 있다.
양 의원은 “의혹이 제기된 만큼 미군과 정부는 정확한 진상을 공개해야 한다”며 “하수구나 폐기물 등을 통한 탄저균 유출가능성에 대해서도 추적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하수구 등을 통한 탄저균 유출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긴급환경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수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