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균 조계사.
지난 14일 민중총궐기대회 이후 서울 견지동 조계사에 긴급 피신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53)이 지난 18일 조계사 측에 신변 보호를 공식으로 요청했다.
경찰은 집회를 주최한 53개 단체 가운데 실체가 확실한 전교조·전국농민회총연맹 등 40여 단체 대표 48명에게 출석요구서를 보내기로 하는 등 형사처벌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노총은 “오전에 조계사 측에 한 위원장을 비롯한 조합원 5명에 대한 신변보호와 현 시국 문제에 대한 조계종 화쟁위원회의 중재를 공식 요청했다”고 밝혔다.
조계사 측은 부주지인 원명 스님 등 지도부가 한 위원장과 비공개 면담을 했다.
조계사는 내부적으로 “강제 퇴거는 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조계종 화쟁위원회는 위원장인 도법 스님의 결정으로 19일 오후 2시 회의를 열어 중재 요청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한 위원장은 이날 화쟁위원회에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세상에서 가장 고통받는 약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당장 갈 곳이 없는 상태가 됐다. 부처님의 넓은 자비심으로 보듬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화쟁위원회는 조계종이 지난 2010년 사회 현안과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구성한 기구다.
경찰은 조계사 주변 배치 경력 70명을 120명으로 늘리고 한 위원장의 동태를 주시하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