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세종 고속도로.
서울과 세종을 잇는 고속도로가 민자로 추진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경부선과 중부선의 중간 지점을 따라 세로로 개설되며, 서울∼안성 1단계 구간(71㎞)은 오는 2022년, 안성∼세종 2단계 구간(58㎞)은 오는 2025년 개통된다.
정부는 19일 제22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추진을 결정했다.
지난 2009년 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대비 편익비율(B/C)이 1.28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지만, 6조원이 넘는 사업비로 6년을 미루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형성되면서 추진이 가능해졌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구리 토평동에서 시작해 서울 강동구, 하남, 성남, 광주, 용인, 안성, 천안 등을 거쳐 세종 장군면까지 129㎞를 6차로로 연결한다.
서울∼안성 1단계는 최대한 빨리 착공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가 먼저 공사하다 완공 전 민간 사업자에게 넘긴다.
지난 2009년 기본계획이 이미 나와 내년초 바로 기본설계에 들어가면 연말 착공, 오는 2022년 개통이 가능하다.
안성∼세종 2단계는 기존의 민자도로 건설과 마찬가지로 제안서를 받아 사업자를 선정하고 오는 2020년 착공, 오는 2025년 개통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경부선과 중부선에서 각각 15㎞ 떨어진 중간지점에 건설되며 시작점은 구리∼포천고속도로, 종점은 대전∼당진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며 위례신도시(11만명), 동탄2지구(30만명) 및 세종시 인구 증가에 대비하게 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 시작점인 구리 토평동에서 한강을 건너 서울 강동구로 연결하는 새로운 교량도 건설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가 건설되면 통행시간은 평일 108분·주말 129분에서 74분으로 크게 단축돼 수도권과 세종·충청권의 연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자율주행 기반시설·지능형교통체계·스마트톨링시스템 등을 갖춘 최첨단 스마트 하이웨이로 구축된다.
충북 주민들을 위해 서울∼세종고속도로에서 연기∼오송간 지선 건설도 검토되고, 그동안 충북지역에서 요구해온 중부고속도로 확장 사업도 필요한 일부 구간에서 추진하기로 하고 타당성을 재조사된다.
건설비용 6조7천억원 가운데 정부가 용지비 1조4천억원을 부담하고 건설비 5조3천억원은 100% 민자로 조달한다.
정부가 올 상반기 민자사업 활성화를 위해 새로 도입한 ‘손익공유형 민자사업(BTO-a)’방식으로 추진, 조달자금 금리를 낮추는 등 통행료는 최근 건설된 민자도로 대비 저렴하게 책정한다는 방침이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