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9월말까지 185건 발생 최근 3년새 무려 5배 가량 폭증
운전자 위협 포트홀도 13만건 경기도 체계적 대책마련 시급
경기도내에서 ‘싱크홀(sinkhole)’ 등 지반침하 현상이 최근 3년 새 5배 가깝게 급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 동안 포트홀(pot hole) 현상은 13만여건에 달한 것으로 집계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조광명 의원(새정치민주연합ㆍ화성4)은 도 수자원본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같은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조 의원이 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들어 9월말 현재, 싱크홀 등 지반침하 발생건수는 총 185건(수자원본부 25건 포함)으로 지난해 39건(수자원본부 8건)보다 5배 가깝게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 2013년 31건(수자원본부 5건)보다는 7배에 근접한다.
지난 7월 중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일원에서 하수박스와 하수관 연결부위 불량으로 토사가 유출돼 지반이 침하된 것을 비롯 지난해 7월 안성 삼죽면 덕산리에서는 관로 파손 및 노후화로 지반이 내려 앉았다. 포트홀 현상은 올해만도 3만6천940건이 발생하는 등 지난 5년 동안 20만4천143건이 발생했다. 지난 2013년 4만8천788건, 지난해 4만8천228건 등이다.
조광명 의원은 “서울 강남 일원에서 발생한 싱크홀 현상이 최근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면서 “도내 발생 수치 또한 해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을 볼때 앞으로 도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싱크홀(sinkhole)은 지표 아래 소금층ㆍ석고층ㆍ석회암으로 구성된 기반암이 지표ㆍ지하수 이동으로 물에 용해되면서 지반내에서 동공이 발생해 지표층이 침하, 함몰되는 현상이다. 지반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싱크홀은 지반침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또 포트홀(pot hole)은 도로포장체에 우수유입으로 인해 도로포장이 벗겨져 작은 구멍이 생기는 것으로 도로에 나타나는 패임 현상을 말한다.
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