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여야 대표간 재협상 전망도
여야의 선거구획정 기준 마련 약속이 또다시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하고 기한을 넘기게 됐다. 여야는 오는 23일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선거구획정 논의를 재개한다.
19일 여야에 따르면 여야는 지난 17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수석부대표 등 3+3 회동을 통해 20일까지 선거구 획정 기준 마련을 위해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20일까지 협상을 진행키로 했다.
이는 선거구획정 제출 최종 마감시한을 앞두고 여야 대표 간 회동이 지난 10~12일까지 3일이나 이어졌지만 결과가 도출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여야간 쟁점사안에 대해 다시 논의를 펼쳐 결론을 마련해보자는 취지로 합의가 이뤄졌다.
하지만 약속한 20일이 하루남은 19일에도 정개특위 간사 간 별다른 협의 시도조차 이뤄지지 못하면서 선거구획정의 지연 현상이 반복될 상황에 처했다.
여야는 선거구획정을 조속히 마무리 지으라는 여론에 떠밀려 오는 23일 정개특위 전체회의를 열기로 했지만 이로 인해 또 한 번 시한을 어기게 된 셈이다.
일각에서는 여야 대표간 회동에서도 도출되지 못했던 획정 결과를 정개특위에서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김무성ㆍ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간 재협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여야 지도부는 지역구수를 현행 246석에서 7석 늘린 253석으로 하자는 데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비례대표 의석수와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지역구수가 늘어나는 만큼 비례대표를 줄여 현행 국회의원정수 300명을 유지하자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감축에 반대하면서 의원 정수를 소폭 늘리거나 권역별 비례대표제 또는 정당득표율에 따른 의석수 배분의 과반을 보장하도록 지역구 선거 결과와 비례대표 선출방식을 연동시키는 방안 도입을 주장하면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