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경기본부 ‘남경필 경기지사 초청 중기인 간담회’
우선 중소기업계는 경기도 중소기업 정책 플랫폼으로 지역ㆍ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 기존 103개의 협동조합을 활용해 공동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해외시장개척 등 지원책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남 지사는 “중소기업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공공물류단지 조성 등 ‘오픈 플랫폼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며 “중소기업 협동조합을 오픈 플랫폼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화답했다.
여성기업ㆍ기업인에 대한 지원책 확대 목소리도 나왔다. 5천만원 이하 계약은 여성기업과 수의계약이 가능하도록 규정된 지방계약법 시행령을 적극 활용하고, 여성 인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직장보육서비스 확대를 요구했다.
박현주 IT여성기업인협회 이사는 “개별 중소기업에서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경기도에서 기업 수요를 파악해 공동 보육시설 설치를 적극 매칭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업종별 세부적인 정책에 대한 건의도 이어졌다. 경기도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은 경기도 농업정책 결정에 작물보호제 업계의 참여를, 경기생활가구공업협동조합은 이케아 등과 맞서기 위한 마케팅 지원과 인증 기능 활성화 방안 등을 요구했다.
이밖에 △중소기업 공제사업기금 이차보전 지원 △뿌리산업 지역중소기업 청년취업 활성화 지원 △개발제한구역 해제 △폐기물 수집ㆍ운반 허가신청 규제 완화 등을 제안했다.
그러나 최근 도내 중소기업계의 이슈로 떠오른 ‘경기조달청 설립’과 관련해서는 서면 건의사항으로만 전달됐을 뿐, 시간문제로 인해 사안이 전혀 논의되지 않아 ‘옥에 티’로 남았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가장 많은 경기도가 활성화돼야 한다”며 “규제 혁파 등에 경기도가 앞장서 중소기업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경필 지사 또한 “일자리 창출이야말로 경제 활성화와 복지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정책”이라며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현장에서 전달한 애로사항을 경청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