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논란으로 개통이 2년여 미뤄진 영종 자기부상철도가 ‘부상(浮上)’할 수 있을지 여전히 안갯속을 달리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교통공사는 24일 내년 3~4월까지 하자 보완을 끝내고 준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개통을 2년여 미루면서까지 보완을 했는데도 막판까지 해결이 안 된 하자가 남아 있는 터라 내년 3~4월 준공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영종 자기부상철도 사업 주체인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은 지난 2013년 합동점검을 거쳐 585건의 하자를 발견, 2년여 동안 564건을 개선했으나 21건이 미결로 남아 있다. 이 때문에 국토부를 비롯한 사업단 측의 우선 개통 후 보완하자는 입장과 운행을 맡은 인천시, 교통공사 등의 보완 후 개통하자는 입장이 맞붙으며 오랫동안 마찰을 빚어왔다.
미결사항은 설계 기준풍속(26m/s) 이하 풍속(17.1m/s)에서 차량 부상이 실패하거나 비, 안개 등 기상조건이 좋지 않을 때 급전 중단 현상, 정 위치 정차미달 및 관제·차량 간 운행정보 불일치 등이다. 이달 말까지 보완을 완료하기로 했으나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
관계기관은 12월 말까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조사를 받아 하자보수를 끝낸 뒤 개통할지, 개통한 뒤 하자보수를 할지 등을 점검받기로 최근 합의했다. 개통 여부는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다.
위탁운영을 맡은 교통공사의 향방도 불투명하다. 교통공사는 공항공사로부터 내년 3월까지 위탁운영 계약을 맺고 있다. 개통을 앞두고 재계약을 하게 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위탁운영 수수료를 받기로 하고 점검이나 시험 운전, 하자보완 등에 참여했으나 정작 개통시기와 재계약 시기가 맞물렸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도형 인천시의원(새정치민주연합·계양 1)은 “하자부문은 전문가의 시각이 아니더라도 간단히 해결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개선보다 임시방편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개통 전까지 무엇보다 안전성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이종호 교통공사 사장은 “교통공사는 위탁운영자일 뿐 정책결정은 국토부, 공항공사, 인천시가 하는 것”이라며 “계약연장 여부를 정확하게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설명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관계기관 간 의견이 갈리고 있어 한국철기연으로부터 객관적인 조사결과를 얻기로 결론을 내렸다”면서 “교통공사와의 계약연장 여부는 결정된 바 없지만 타당한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