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확대·비례 축소 공감… 선거구획정 급물살

여야, 농·어촌 지역구는 ‘최대한 유지’ 의견 접근
권역별비례대표제 이견 여전… 내일 추가 회동

한 자리에 모인 국회의장여야 지도부 정의화 국회의장이 3일 오전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여야 대표 등과 회동을 갖고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 기준 등을 논의했다.참석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정의화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이병석 위원장. 연합뉴스
여야가 내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데 공감하면서 지지부진하게 이뤄지던 선거구획정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는 새정치민주연합에 새누리당이 수용불가 입장을 보이고 있어 향후 선거구획정 논의의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여야는 3일 내년 4월 실시되는 20대 총선에서 지역구 숫자를 늘리고 대신 비례대표 의원 수를 축소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양당 원유철(평택갑)·이종걸 원내대표(안양 만안)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현재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유지하되 농·어촌 지역구를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선거구 획정안을 만들기로 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원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 브리핑에서 “오늘 대체적으로 지역구를 조금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는 쪽으로 (여야 지도부가) 인식을 같이 했다”면서 “그 의미는 날로 어려워져가는 농어촌 지역구를 지켜나가는 쪽으로 인식을 같이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도 지역구 확대 및 비례대표 축소에 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했고, 어느 정도 의견을 공유했다”면서 “다만 비례대표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된다면 비례대표 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계속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246개인 지역구수를 7개 안팎으로 늘리고 그 만큼 비례대표 의석을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축소 불가 방침이라는 기존의 당론에서 한발 물러선 반면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이 제안한 전국 단위 비례대표 선출방식과 당이 주장해왔던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 절충한 방안의 도입을 요구해 향후 논의 과정에서 쟁점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당론으로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은 물론 이 위원장의 절충안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여야는 오는 5일 여야 대표,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2+2’ 회동을 열어 선거구 획정안 논의를 재개키로 했다.

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