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구 획정 회동 성과 없이 평행선만 긋고 종료…3+3 회동 시작하나

O1.jpg
▲ 사진=여야 선거구 획정 회동. 연합뉴스
여야 선거구 획정 회동.

여야 지도부의 6일 오후 선거구 획정 회동이 평행선만 그은 채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만나 ‘지역구수 일부 확대와 비례대표 일부 축소’라는 공감대를 토대로 이를 보완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새정치민주연합이 요구하는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연동제에 대해 거부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면서 20여분 만에 종료됐다.

앞서 이들은 지난 3일 열린 회동에서 지역구수를 늘리는 대신 비례대표를 줄인다는 기본 방향에는 공감했지만, 이날 회동에선 비례대표 선출방식에 대해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 이병석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중재안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지역구-비례대표 연동제’에 반대 의사를 명확하게 하면서 지역구를 7석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를 줄이는 안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지역구 증원에 합의해줄 수 없다면 현행 비율(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을 유지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야당은 “여당이 비례대표제 취지를 구현할 대안을 만들어오지 않았다”는 입장으로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무성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이병석 정개특별위원장이 제안한 연동제는 현재의 권력구조와 맞지 않는 만큼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못 받으니 새로운 제안을 하지 않겠다. 현행대로 선거구를 획정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여당에서 변화된 것을 가져오지 않으면 만나봐야 뭐 소용이 없는 상황이 됐다. 새누리당이 자기들 안을 만들어야 하는 만큼 (협상에 진전이 없는 것은) 여당의 책임 아니냐”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