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책 종합토론회
특히 항공부품 기술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전문인증을 획득하고, 급성장하는 무인항공기(드론)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7일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 국제회의장에서 인천시, 인천테크노파크, 인하대 공동 주최·주관으로 항공정책 종합토론회가 열렸다.
인천의 항공산업은 동북아를 연결하는 지리적인 이점과 국내 제1의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 교육·의료·문화·시설 등 정주환경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나 국내 경쟁지역과 비교해 배후단지 임대료가 비싸고, 정부 지원금이나 조세 혜택은 비슷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 산업구조는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분야의 제조역량은 높지만 항공분야 제조역량은 낮다. 또 항공산업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인건비도 비싼 편에 속한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이 항공산업에서 국내외 도시와 경쟁하려면 항공부품 유망기업을 육성하거나 외국 전문기업을 유치하고, 항공부품 국제기술인증(미국)인 PMA를 획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유창경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항공 유망기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PMA를 먼저 획득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블루오션인 무인항공기 분야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유 교수는 “국내 무인항공기 시장은 2022년 6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라며 “무인항공기 분야와 항공부품 분야를 연계해 육성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항공정비산업(MRO) 단지조성도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토론자로 참석한 인천국제공항공사 임남수 기조실장은 “외국에서 항공정비를 받는 데 연간 8천억 원 상당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항공기 1대당 1억 9천만 원의 추가비용이 드는 셈”이라며 “그러나 국내 인건비 등을 감안했을 때 항공사들이 국외 정비가 더 경제적 실익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게 문제다. 국익 차원에서 항공정비산업단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손윤선 시 해양항공국장은 “항공 MRO 산업은 지자체나 대학, 기관 하나하나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며 “내년부터 시 차원에서 특화단지·융합단지 조성을 시작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