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발전방향 설명회… 양측 이견만 확인
학교, 교과과정 개편 vs 학생, 교육여건 개선
인하대학교의 혁신이 학교 측과 학생들의 동상이몽으로 귀결되고 있다.
학교 측은 교과과정 개편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학생들은 교육여건 개선이 우선이라며 맞서고 있다.
인하대는 9일 대학 하이테크관 대강당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발전방향 설명회를 열었다.
학교 측은 이 자리에서 특성화 방안을 내놨다. 특성화 골자는 교과과정을 사회적 요구와 산업수요에 맞춰 개편하고, 취업률 등 경쟁력 있는 학과 정원은 유지하거나 증원(100명)하고 경쟁력 없는 학과 정원은 줄이거나 폐지하는 것이다.
학교 측은 조정된 정원만큼 융합학과 4~6개 정도(정원 200명)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또 60주년 기념관 개관 등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교수 충원, 다중·복수전공 최대 허용 등 개선안도 제시했다. 학교 측은 이달 말까지 구조조정안을 확정한 뒤 내년 2월께 교육부 프라임 사업을 신청, 재정지원을 받을 계획이다.
반면 학생들은 교육여건 개선과 소통이 우선돼야 혁신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국어문학과의 한 학생은 “인하대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학교의 재원을 등록금 수입에만 의존하고 재단의 전입금이 없는 것이 문제”라며 “문과대학을 줄이고 공과대학을 키워도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오히려 사회적으로 질 좋은 일자리를 늘리는 정책인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어영문학과 석사과정의 한 학생은 “인하대가 정부 평가에서 B 등급을 받은 이유는 교과과정 구조조정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 여건과 환경이 열악한 탓이다”고 비판했다. 인하대 외부 평가지표는 전국 330여 개 대학 중 종합 13위 정도 되지만 교육 여건 등은 60위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최순자 총장은 “문과대학 전과신청률이 50%에 육박하고 있다”면서 “교육여건이 문제가 되는 것은 맞다. 교육여건도 바꾸면서 학교 측과 단과대학, 교수, 학생 등 모든 구성원의 혁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과과정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 총장은 “인하대 홈페이지 열린 총장실에 학생들의 교과과정 개편안을 제시한다면 검토하겠다”며 “프라임 사업을 포기할 수는 없다. 필요하다면 투표를 통해 의견을 묻겠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