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해서 유빙에 좌초됐던 썬스타호 아라온호에 의해 18시간 만에 구조…안전지대로 이동

p1.jpg
▲ 사진=안전지대로 이동, 연합뉴스
안전지대로 이동.

남극해에서 조업하던 우리나라 선우실업 소속 원양어선 썬스타호(628t급·승선원 39명)가 유빙에 좌초됐다,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7천487t급)에 의해 18시간 만에 구조된 뒤 안전지대로 이동됐다.

1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썬스타호는 지난 18일 오후 7시30분께 뉴질랜드에서 1천500마일 떨어진 남극해상으로 일명 ‘메로(이빨고기)’ 잡이를 하러 가던 중 유빙 위로 선체가 얹혀졌다.

이 원양어선에는 한국인 7명·인도네시아인 23명·필리핀인 5명의 선원과 한국인과 러시아인 옵서버 1명씩이 승선해 있었다.

이때문에 가로 15m, 세로 7m, 깊이 2m 크기 유빙 위로 선체 앞부분부터 40m 걸터 앉으면서 진행방향으로 13도 기울어지면서 좌초됐다.

선체는 크게 손상되지 않고 기관도 정상으로 작동됐지만, 유빙에 얹혀져 자력 이동이 불가능, 오도 가도 못하는 처지가 됐다.

이에 같은 선사 소속 선단선 코스타호(862t급)가 예인줄을 연결, 유빙 위에서 끌어내려 했지만  실패했고, 선사 측은 이날 오후 8시30분께 해수부에 조난신고를 했다.

해수부는 신고를 접수한 뒤 바로 위기대응 매뉴얼에 의해 외교부·국민안전처 등에 상황을 전파했고, 썬스타호 승무원들에 대해선 특수 방수복을 착용하고 코스타호로 대피토록 조치했다.

썬스타호 선원 34명은 코스타호로 대피했고 선장과 항해사, 기관사, 기사, 조리사 등 5명은 배에 남아 구조작업을 지원했다.

해수부는 썬스타호 주변 100마일 이내에서 구조 활동이 가능한 선박이 없자 130마일(10시간 항해거리) 떨어진 곳에서 항해하던 아라온호에 긴급 구조를 요청, 아라온호는 항로를 틀어 사고 해역을 향해 18일 오전 10시께 현장에 도착했다.

아라온호는 곧바로 코스타호와 함께 썬스타호에 각각 80m의 예인줄을 연결하고 유빙을 깨는 작업을 벌여 오후 1시10분께 썬스타호를 사고현장에서 무사히 탈출시켰다.

앞서, 아라온호는 지난 2011년 성탄절에도 남극해에서 생사의 갈림길에 있던 러시아 어선 ‘스파르타호’를 구조, ‘남극의 산타’라는 칭호를 받은 바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썬스타호는 현재 유빙이 없는 안전지대로 이동 중이다. 피해자는 없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