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상연 위해 학교·지자체 의기투합
26·27일 용인서 29·30일 오산서 공연
이들은 지난 2014년 단국대학교 재단 후원으로 창단해 전국의 성악가와 전공 학생들이 함께 하는 무대를 선보이며 주목 받았던 ‘DKU오페라 뮤즈’의 2015년 오페라 제작 및 작품 상연에 힘을 보탰다.
작품은 <사랑의 묘약>으로 유명한 가에타노 도니체티(Gaetano Donizetti, 1797~1848 )의 코믹 오페라 <돈 파스콸레>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구두쇠 이야기’로 꼽히는 코믹 오페라이지만, 도니체티 특유의 아름답고 애절한 음악과 해학, 풍자를 기반으로 한 인생에 대한 진지한 철학도 있다. 국내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코믹 오페라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다.
돈 파스콸레 역에 베이스 한경석, 에르네스토 역에 테너 박준석과 진성원, 말라테스타 역의 바리톤 장승식, 노리나 역에 이은송이와 김지수 등 실력을 인정 받은 성악가들이 무대에 오른다. 여기에 단국대학교 대학원 재학생들이 출연한다. 천안시립교향악단이 연주하고, DKU 합창단이 풍성한 무대를 꾸민다.
특히 DKU오페라 뮤즈는 올해 공연에 중국어 자막을 마련하는 등 아시아 관객을 겨냥한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내세워 귀추가 주목된다. 공연은 오는 26~27일 오후 5시 용인포은아트홀, 29~30일 오후 7시 30분 오산문화예술회관에서 펼쳐진다.
류설아기자
인터뷰 박세원 DKU오페라 뮤즈 예술감독
“사명감·도전정신으로 성악가 육성 국내선 한계… 해외진출 기반 마련”
“우리나라의 성악가와 오페라 제작 인력 및 시스템 등은 세계에서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우린 안돼’라고 말한다. 이래선 안된다. 국내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는 지금, 아시아부터 전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
박 교수는 서울시립오페라단 단장 재임 시절, 오페라 본고장인 이탈리아에 우리나라 성악가와 스탭이 제작한 <라 트라비아타>를 역수출하고 현지에서 호응을 얻어 주목받은 바 있다. 당시 돋보였던 도전정신이 여전히 살아 있음을 ‘DKU오페라 뮤즈 창단’이 보여준다.
“현역 성악가로는 물러났지만, 더 이상 국내에서는 성악가들이 설 자리가 없는 상황에서 일단 대륙으로 진출할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교수들은 자기 학생들만 가르쳐주는 편안함을 버리고 좀 더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이에 박 교수는 지난해 DKU오페라 뮤즈를 창단하고 내로라하는 성악가와 대학원 전공자들이 함께 한 <리골레토>를 선보였다. 이후 매년 2개 작품을 제작하며 학생들에게 교수와 함께 연습하고 공연하는 기회를 제공, 실질적으로는 교육 단체로 운영 중이다.
이번 주말 상연을 앞둔 <돈 파스콸레>의 중국어 자막을 제작한 것도 ‘일자리 창출’ 때문이다. “중국 유학생도 많고 중국인 관광객도 엄청난” 시대에 그들(중국)에 대한 문화서비스인 동시에 우리나라 성악 전공자들의 활동 범위를 넓히는 첫 걸음으로 마련한 것이다. 老성악가의 청년 세대를 위해 도전하는 삶이 눈부시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