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금 평균 작년比 2.2%↑ ‘6천181만원’… 빚상환 부담 여전

가계의 대출금 상환 부담이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보유자산은 3억4천246만원, 대출금은 6천181만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유자산 3억3천539만원, 부채 6천51만원)과 비교했을 때 각각 2.1%, 2.2% 증가했다.

 

보유자산은 금융자산이 26.5%(9천87만원) 실물자산이 73.5%(2억5천159만원)로 이뤄져 부동산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득이 늘고 여유자금이 생겼을 때 운용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가 43.0%, ‘부동산 구입’ 27.8%, ‘부채 상환’ 23.6% 순으로 답변이 많았다.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54.0%)이었다.

 

부채는 금융부채 69.9%(4천321만원), 임대보증금 30.1%(1천860만원)로 구성됐다.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0.1%로 지난 2013년(71.8%)에 비해 1.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출금 원금상환과 이자 지급을 이유로 가계의 저축ㆍ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가 78.7%인 것으로 집계되면서 여전히 대출금에 따른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60세 이상 고령층과 자영업자 등 취약 계층의 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가구주 부채는 지난 3월말 기준 4천785만원으로 지난해 4천406만원보다 8.6% 늘어 증가 폭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컸다. 반면에 30세 미만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지난해 5.7%에서 올해 1.7%로 크게 줄었다.

이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