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예결특위, 쟁점사업 20건 본격 협상

여·야 대표단 타협 안되면 회기 연장도 배제 못해

경기도의회 여ㆍ야가 경기도와 도교육청이 제출한 내년도 본예산 중 예산안조정 소위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 일자리재단 등 주요 쟁점 사업예산을 각각 선별한 뒤 대표단에 처리를 일임했다.

 

일반 사업예산은 이날 예결특위 간담회를 통해 계수조정안을 일단락 짓고 집행부와 의회 소관 상임위에 넘겨 의견을 묻기로 했다.

 

21일 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정대운)는 전체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간담회를 갖고 예산안조정 소위원회가 조정한 도와 도교육청 소관, 내년도 사업예산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소위 조정안은 의회 상임위를 통해 증액된 사업이나 신규사업 예산 중심으로 삭감해 가면서 계수를 맞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계수조정 과정에서 여야 의원들간 이견이 팽배한 현안사업 예산은 쟁점으로 분류, 양당 대표단에 넘겼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목한 쟁점 사업예산은 경기연구원 출연금(130억5천만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전출금(500억원), 경기일자리재단 운영지원(120억원), 넥스트경기 스타트업 콜라보레이션(81억원), 섬유종합지원센터 운영지원(7억5천만원), 곤지암스포츠밸리 조성(30억원),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30억7천587만원) 등 15건이다.

 

반면 새누리당은 친환경 우수농산물 학교급식 지원(208억원), 초등학교 노후화장실 개선(288억원), 학교교육급식 지원(237억원) 등 3건을 쟁점으로 분류했다.

 

도 교육청 소관 쟁점 사업예산의 경우, 예견된 누리과정 지원(4천929억3천808만2천원)과 마을교육공동체 기획단 소관 꿈의학교 운영(41억8천403만원) 등 2건이다.

 

이처럼 쟁점사업으로 분류된 20건은 양당 대표단에 일임되면서 22일 오후 부터 본격적 협상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하지만 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23일 예정된 본회의 상정 자체가 어려워 회기 연장 등 변수로 이어질 공산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예결특위 정대운 위원장은 “도민의 편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 선에서 예산심의를 진행했다”면서 “이견차로 합의를 보지 못한 쟁점 사업예산은 대표단이 지혜롭게 처리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김동수박준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