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경기동북부 규제 완화땐 21개 기업서 1조2천억 투자

경기동북부 기업들 1조 푼다
수도권 규제 완화 예상… 21개社 공장 신·증설 나설 듯

정부가 2016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공개하며 경기 동북부 낙후지역에 대해 규제완화를 시사한 가운데 경기 동북부 지역에 수도권규제가 완화되면 약 1조2천억원 규모의 기업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1일 도 관계자는 “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대로 경기 동북부지역에 수도권 규제가 완화되면 21개 기업이 1조2천억원 가량을 투자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아직 정부가 구체적인 규제완화 방침을 결정하지 않아 정부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정부는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경기 동북부 낙후지역에 대해 기업 투자여건을 개선하고 입지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내년도 검토과제 중 하나로 ‘접경지역 중 낙후지역은 수도권 범위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제시, 규제완화에 고통받고 있는 경기 동북부 지역에 희소식을 안겨주고 있다.

 

정부는 경기동북부 낙후지역을 수도권에서 어떻게 제외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밝히진 않았지만 공장 신ㆍ증설 제한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경기 동북부 지역 내 기업들의 신규 투자 수요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 21개 기업이 1조2천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신ㆍ증설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번 수요조사는 그동안 꾸준히 규제완화를 요구해 왔던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도는 실제 규제가 완화되면 1조2천억원을 훨씬 상회하는 투자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연천군이 비수도권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북동부 지역이라고 하지 말고 ‘연천과 인천 강화, 옹진군’이라고 명시해 이들 지역을 수도권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해 눈길을 끌고 있다.

 

도는 이날 연천군에 위치한 연천수레울아트홀에서 수정법분야 전문가, 관계기관 임직원, 도민, 공무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북부 수도권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자리에서 김규선 연천군수는 “경기 동북부 지역이라고 두루뭉술하게 표현하니까 비수도권에서 반발하는 것”이라면서 “접경지역이고 인구가 감소되는 연천이나 옹진, 강화 지역을 명확히 표시해서 수도권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동우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시 “현재 정부가 제시한 수도권 낙후지역 규제 제외 발표는 구체적 정책으로 시행되기에는 모호하다. 일정이 명확하지 않고 대상도 확실하지 않다”면서 “수도권 정책이 좀 더 명확해 질 수 있도록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