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카드 포인트로 기부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소비자 관심이 높다. 가만히 두면 사라질 카드포인트로 연말정산 때 환급을 받아 가벼운 주머니를 두둑이 채울 수 있다.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연말정산 때 카드 포인트로 정치후원금을 내면 10만원까지는 90%, 10만원 이상이면 초과분의 15%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이 시스템은 특히 연말에 소멸시효가 얼마 남지 않은 포인트를 사용할 때 유리하다. 적립된 포인트의 유효기간은 통상 적립일로부터 5년이고, 일부 카드사는 3년이다. 이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포인트는 자동 소멸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치후원금센터(www.give.go.kr)를 이용하면 카드사의 포인트를 간편하게 기부할 수 있다. 현재 신한ㆍ국민ㆍBCㆍ삼성카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1포인트 단위부터 기부가 가능하다.
신한카드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포인트를 후원금으로 낼 수 있다. 신한카드는 기부전용 사이트인 아름인(arumin.shinhancard.com)에서 정치후원금 기부를 선택해 본인 포인트로 중앙선관위나 국회의원 후원회 중 원하는 곳에 기부할 수 있다.
롯데카드도 홈페이지를 통해 중앙선관위 기부가 가능하다. 롯데카드 러브팩토리 사이트 (www.lovefactory.org)나 롯데카드 콜센터(1588-8100)를 통해 할 수 있다. 다만, 신한카드와 롯데카드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최소 1만 포인트 이상만 기부할 수 있다.
정치후원금 기부는 포인트가 부족하면 카드결제와 병행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만 포인트가 있다면 이를 모두 기부하고 7만원을 카드결제로 기부하면 연말정산 때 약 9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또 지금 당장 포인트가 없더라고 미리 포인트를 제공받아 사용한 후 카드 이용 금액에 따라 적립한 포인트로 갚아 나가는 선지급 포인트도 유용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카드 포인트는 고객들이 쉽게 잊어버려 자동 소멸되는 경우가 많은데 연말정산 때 기부를 통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니 얼마 남지 않은 기간 꼼꼼히 챙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