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 또 빈손… 27일 협상 재개

여야, 비례대표 이견 못좁히고 네탓 공방
노동개혁법 등 쟁점법안 처리도 불투명

관심 뜨거웠지만… 정의화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는 24일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회동을 갖고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안과 쟁점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정개특위 간사 이학재 의원,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정의화 의장,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새정치민주연합 정개특위 간사 김태년 의원. 연합뉴스
내년도 4·13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여야간 협상이 24일 또다시 불발됐다.

이달 들어서만 여야 지도부가 7차례나 회동을 가졌음에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해 여야의 양보없는 협상 속에 공전만 이뤄지고 있는 선거구획정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양당 원유철(평택갑)·이종걸 원내대표(안양 만안)는 이날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에서 회동을 열었으나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포함한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날 회동에 앞서 여야는 서로의 양보를 촉구하면서 신경전을 펼쳐 이날 협상 전망을 어둡게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은 그간 여야 합의사항도 뒤집는 일을 하고 있다. 새로운 법안 경제활성화 노력에 훼방을 놓고 있다”며 “대화와 타협인데 야당측 인사들이 비타협에 강경하기까지 해 법안 논의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새정치연합 박수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꽉 막힌 정국을 풀 열쇠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가지고 있다”며 “국회가 두려워해야 할 존재는 국민이지 대통령이 아니다. 새누리당은 대통령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끌려 다니지 말고 국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맞대응했다.

 

이날 여야가 선거구획정 합의에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면서 같이 묶여있는 노동개혁 법안, 테러방지법 등 쟁점법안들의 처리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여야는 오는 27일 선거구 획정에 대한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 앞서 정 의장은 연말까지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합의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직권 상정’으로 통하는 심사기간 지정을 통해 조정안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여야 협상이 진척되지 않을 경우 임시국회가 종료되는 내년 1월8일 직권상정을 통해 처리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민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