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등 질병 격리땐 통합적·일관성 있는 조치를”

“대상자 선정기준 등 세부지침 마련” 경기연구원 보고서 발간

메르스와 같은 질병 발생시 격리 조치를 할 경우 대상자의 선정기준 및 범위 등 세부지침을 마련해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일까지 한국의 메르스 감염 확진자는 186명으로 최종 집계됐고 퇴원 146명, 치료중 환자 2명, 사망자 38명이며 현재까지 격리자는 총 1만6천752명에 달한다. 

경기연은 이날 메르스 사태를 토대로 올바른 격리조치 방안을 담아 ‘메르스 격리자, 공공의 적이었나’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전 세계 메르스 감염 환자는 지난 2012년 3월부터 2015년 12월3일까지 1천640명에 달하고 그 중 사망자는 636명으로 치사율은 39%에 달한다. 한국은 총 186명의 확진환자중 38명이 사망해 약 20%의 치명률을 기록하여 중동지역 다음으로 피해가 큰 국가이다.

 

이은환 경기연 연구위원은 “격리조치 시 국민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홍보를 통해 격리의 필요성과 범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격리 대상자의 선정기준 및 범위 등 세부지침을 마련해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보고서에는 무조건적인 격리보다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능동감시가 효율적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그 이유는 지금 당장 병원균을 퍼뜨릴 위험이 없는 접촉자에 대한 격리조치는 법적 및 임상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격리자들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합리적이고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격리자들 스스로 방역의 주체가 되는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능한 최소 범위에서의 격리조치로 인한 감염자 및 접촉자들의 심리적·정신적 치료를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지원도 중요한 사항으로 언급됐다. 

최원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