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염태영 시장의 통 큰 결단이 필요하다

-국토부, 광역 화장장 승인과 관련-

정부가 화성 화장장 건립을 승인했다. 국토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가 내린 결정이다. 몇 가지 요구 사항을 조건으로 붙였다. 사업 부지 내 원형보존 지역 일부를 제외할 것과, 사업 부지 내 산재한 건축물을 한 곳으로 집중할 것 등이다. 전체 사업 부지도 계획보다 최대 10만㎡ 정도 줄게 됐다. 기존 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해졌다. 하지만, 화장장 건립의 최상위 의견이라 할 수 있는 국토부의 의견은 명확해진 것이다.

화성 화장장은 경기 서ㆍ남부권 주민 500여만 명을 위한 시설이다. 주민 기피 시설인 화장장을 인근 지자체가 공동 설치, 공동 사용하는 모범 사례다. 이에 대한 서수원권의 반대가 컸다. 화장장에서 발생한 다이옥신이 칠보산을 넘어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각종 용역 조사에서 이는 현실로 입증되지 않았다. 어찌 보면 정부의 사업 승인은 시간문제였을 수 있다. 국토부의 이번 결정은 그 예상과 그 내용대로 이뤄진 셈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건 갈 데까지 가 버린 양 지자체간 앙금이다.

화성시와 수원시의 감정은 역대 최악이다. 서로 이기적이라고 비난하고, 떼를 쓴다고 비난한다. 감정은 화장장 이외 다른 분야의 충돌로까지 전이되고 있다. 몇 달 전 수원이 U-20 월드컵 유치를 위한 협조를 화성에 요구했다. 최근에는 2016년 수원화성 방문의 해를 위한 협조 요청도 했다. 하지만, 모두 무산됐다. 화성시 측이 외면했다. 이런저런 핑계를 대지만 누가 봐도 화장장 충돌로 인한 감정이다. 이를 풀고 가야 할 때다.

더구나 서수원권에는 화장장보다 큰 현안이 있다. 50년간 지역 발전을 가로막아온 비행장 문제다. 올 초 국방부가 이 문제에 전향적 입장을 취하면서 해결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거론되는 비행장 이전 후보지역에 화성시가 포함됐다. 악화된 화성시의 감정이 이를 용인할 리 없다. 일부 지역에는 이미 ‘수원 비행장 이전 결사반대’라는 현수막들이 내걸려 있다. ‘비행장’의 ‘비’자도 꺼낼 수 없는 게 지금의 양 지자체다.

염태영 수원시장의 향후 시정 방향은 비행장 이전에 맞춰져 있다. 새로운 제2 부시장도 ‘비행장 이전을 책임질 적임자’로 찾고 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염 시장의 새로운 화장장 입장이 궁금하다. 화장장 행정은 국토부 승인으로 끝났다. 달콤했던 정치인들의 약속도 효과 없는 선동이었음이 확인됐다. 때마침 전국 지자체 경영 1등-한국 공공자치연구원 21일 선정-에 오른 염 시장이다. 무책임하고 몰염치한 정치와는 달라야 하지 않겠나.

눈앞의 비난을 기꺼이 감내하는 결단과 미래의 이익을 냉철히 계산해 내는 혜안을 기대한다. ‘화성 광역 화장장 건립 전면 수용’이 그 출발일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