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내년도 총선에 적용할 공천룰을 마련 중인 가운데 새로이 마련된 공천룰을 통해 현역의원 교체가 얼마나 성사될 수 있을 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7일 국회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로 열린우리당 후보가 대거 국회에 새로 입성한 17대 총선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초선의원들의 비율은 4~5%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00년 이후 비례대표를 포함해 초선 비율은 제16대 40.7%, 제17대 62.9%, 제18대 44.8%, 제19대 49.4%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이같은 점에서 여야의 공천룰 마련을 통해 내년 총선에서도 이같은 세대교체가 이어질 지 정치권의 눈길이 모아진다.
이에 따라 현재 여야가 각각 진행 중인 공천룰 논의도 현역 의원을 얼마나 바꾸느냐가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애초 김무성 대표가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강하게 추진하면서 현역 의원의 재공천 비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오픈프라이머리가 사실상 좌절되고 현 정부에서 장관과 청와대 고위직을 지낸 인사들이 당의 텃밭인 영남권과 서울 강남권에서 앞다퉈 총선에 뛰어들면서 상황이 크게 변화했다.
이는 ‘공천=당선’인 우세 지역을 중심으로 대폭적인 현역 물갈이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의미한다.
당 내부에선 안철수신당의 탄생 움직임과 지난 19대 총선에서의 25% 물갈이 추진 등을 상기시키며 19대 총선 수준의 물갈이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위 20% 현역의원 교체를 공식화한 새정치민주연합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평가위)의 채점작업을 착수한 상태다. 배제 규모는 시행 세칙이 마련된 지난 11월 현재 현역 의원 127명의 20%인 25명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평가위 관문을 넘어서도 ‘물갈이’ 작업은 계속 이어져 일각에서는 50% 안팎이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안철수 의원의 탈당 이후 무소속 천정배 박주선 의원 등과 맞물린 야권의 통합신당 창당이 속도를 내면 추가 탈당이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정치 신인의 진입무대가 넓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재민ㆍ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