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지도부의 선거구획정 논의가 8번째 회동에서도 성사되지 못했다.
여야의 김무성ㆍ문재인 대표, 원유철(평택갑)ㆍ이종걸 원내대표(안양 만안) 등 양당 지도부는 선거구획정 마감시한을 5일 앞둔 27일 정의화 국회의장의 주재로 선거구획정을 위한 합의에 들어갔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참석자들이 밝혔다.
이날 회동 역시 양측이 현행 246석인 지역구의석수를 일부 확대하는데는 공감을 이뤘지만 그에 따라 줄어드는 비례대표 선출 방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나타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오는 31일까지 선거구획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현직 의원들에 비해 정치신인들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어 여야 지도부가 계속되는 합의 지연을 반복하면서 현직들의 기득권지키기만 부채질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회동에 앞서 정 의장은 “선거구 획정 협상과 관련한 의장으로서의 중재 역할을 오늘 끝내도록 하겠다”면서 “오늘 이 자리에서 결론이 안 나면 의장은 이제 여러분에게 맡기고 연말까지 기다려 보겠다. 입법 비상사태가 생기면 그때는 ‘특단의 대책’을 할 수밖에 없으니 양해해주기 바란다”고 말해 직권상정 가능성을 암시했다.
앞서 정 의장은 연말까지 선거구획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선거구가 무효화되고 예비후보자들이 자신의 알릴 기회를 박탈당하는 상황을 ‘입법비상사태’로 보고 직권상정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