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예방시설에 4천억 이상 들어 사업 추진 지연
道 “종전 시행자가 부담해야”… LH는 묵묵부답
첨단연구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광명ㆍ시흥 특별관리지역을 관통하는 목감천에 대한 재해예방사업이 선행돼야 하는데 이 사업비만 4천억원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종전사업시행자인 LH가 재해예방사업비를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LH는 수개월째 묵묵부답인 상태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7월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해제 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내 66만㎡가량을 판교에 버금가는 첨단연구단지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도는 이 사업에 9천400억원을 투입, 주거용지를 원천 배제하고 국·내외 첨단기업들의 연구·업무시설뿐 아니라 종사자들을 위한 휴식·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이 복합된 공간으로 조성해 경기도를 대표하는 첨단연구단지로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판교테크노밸리와 차별화할 수 있도록 자동차부품, 기계, 화학, 지능형 로봇 관련 R&D기능을 도입하고 컨설팅, 금융 등 창업·기업 지원 서비스와 근로자 교육 및 교류공간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는 광명ㆍ시흥 첨단연구단지가 조성되면 고용유발 4천600여명, 생산유발 6천400억여원, 부가가치 유발 2천800억여원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이러한 광명ㆍ시흥연구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8월부터 국토부 등과 협의를 진행, 연말께는 국토부가 수립하는 제2차 특별관리지역 관리계획에 해당 사업이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제2차 특별관리지역 관리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지지부진하게 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으로 내년 상반기께는 돼야 계획 수립이 완료될 전망이다.
특히 광명ㆍ시흥 첨단연구단지 조성 계획이 ‘목감천’에 가로막혀 사업 결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습침수구역인 목감천이 광명ㆍ시흥 특별관리지역을 관통하고 있어 목감천에 대한 재해예방사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첨단연구단지 조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목감천 재해예방사업의 비용은 약 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방하천인 목감천에 대한 재해예방공사가 추진될 경우 정부와 경기도가 절반씩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도는 9천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천억원을 들여 재해예방사업을 해야 하는 입장에 놓인 것이다.
이에 도는 이 지역의 종전사업시행자인 LH가 재해예방사업비를 부담해 줄 것을 LH에 요청, 지난 10월부터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LH 측은 아무런 답변이 없는 상태다.
도 관계자는 “목감천 재해예방사업은 첨단연구단지를 조성하지 않더라도 해야할 사업이다. 현행법상 주택지구 지정으로 추진이 중단된 사회기반시설의 경우 종전 시행자에게 사업비를 부담하게 할 수 있어 LH가 목감천 재해예방사업비를 부담해 주길 기대한다”며 “첨단연구단지 조성을 서두르기 위해 목감천 재해예방사업과 동시에 사업을 추진하는 방법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