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 적자노선 운항중단, 인력 재배치 등을 골자로 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추진한다.
30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급격한 성장세와 외항사의 운항 확대, 국내선 및 중단거리 국제선 시장점유율 및 수입 하락 등의 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대대적 경영 정상화 방안을 내놓았다.
우선 일본 지선과 동남아 심야 노선 등 11개 노선을 신규 자회사 LCC인 에어서울에 순차적으로 이관하고, 내년 2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3월 미얀마 양곤, 발리 등의 운항을 중단하기로 했다.
특히 국내 23개 지점을 14개 대표 지점으로, 해외 128개 지점을 92개 대표지점으로 각각 통합하고, 이외 업무를 전문업체에 위탁할 계획이다. 이에 따른 유휴인력은 직무변경을 통해 타 업무로 재배치하고, 신규 채용을 축소하기로 했다. 희망휴직, 희망퇴직 제도도 운영하기로 했다.
또 임원 차량지원 중단 및 임원 연봉 반납, 공항 자동화 등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 안전을 제외한 모든 영역의 비용절감과 수입증대에 노력키로 했다.
이와 함께 A380이 투입되는 LA, 뉴욕, 프랑크푸르트 노선에 한해 퍼스트클래스 좌석을 운영하고, 장거리 노선 비즈니스 클래스에 180도로 펼 수 있는 침대형 좌석 업그레이드 등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김수천 사장은 “생존을 위한 강도 높은 체질개선으로 2017년 이후 경쟁력을 회복,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회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