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1,2위 후보간 격차 오차범위 때만 '결선투표'

새누리당은 내년 4·13 총선 공천에서 1·2위 후보간 여론조사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에만 결선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청년 신인에 대해서도 여성 신인과 마찬가지로 20%의 가산점이 주어질 전망이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위원장 황진하 사무총장)는 지난 12월30일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천룰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31일 전해졌다. 하지만 여론조사 비율과 신인의 범주를 어디까지 볼 것인지 등 공천룰에 대한 최종 확정은 새해로 넘어갔다.

 

결선투표의 경우, 1,2위간 여론조사가 오차범위(1천명 대상인 경우 약 3%) 내 차이를 보일 때 도입키로 했다. 하지만 정치 신인 등에 대한 가산점을 결선투표까지 적용할지에 대해선 의견일치를 보지 못했다.

 

또한 신인의 범주에 선거 출마 경험이 없는 장·차관이나 청와대 수석비서관까지 포함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특히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낙하산으로 내려온 고위직 공무원 등이 신인이라고 가산점을 받을 경우, 4년간 땀흘리며 지역을 다져온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크게 손해를 보게 된다는 것이 당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40세 이하 청년 신인에 대해선 여론조사 득표에 20%를 가산하는 방안이 유력되고 있다.

 

여론조사 때 ‘안심번호’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비박·친박간 의견이 엇갈려 기술적·법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지 점검하고 나서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는 “기술적으로 아무 문제도 없고 비용도 안든다”고 밝혔지만, 친박(친 박근혜)계 김태흠 의원은 “(안심번호가) 가능할 것처럼 당원과 후보들에게 혼선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여론조사의 국민·당원 비율은 현행(50% 대 50%) 유지와 국민 비율을 70%로 높이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적용하자는 대안도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선거 당선자 중도 사퇴에 대해선 단체장은 20%, 광역의원은 10% 수준의 감점이 주어져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렸으나, 가혹하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경기도내의 경우, 단체장 사퇴는 한 명도 없으나 광역의원은 이승철 도의회 대표의원이 수원병(팔달) 출마를 위해 사퇴할 계획이다.

 

특위는 오는 3일 다시 회의를 열어 이날 정리하지 못한 쟁점을 추가 논의할 예정이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