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6일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옛 농촌진흥청 본관동, 수원시 권선구)에 ‘농업기술역사관’을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 곳은 200여 년 전 조선 정조(正祖) 임금이 혁신적인 농업 정책을 펼쳐 모범적인 이상 도시를 구현한 데 이어 1962년 농촌진흥청을 설립한 자리다.
‘농업기술역사관’은 수장고를 포함해 총 755㎡ 규모이며, 4개의 전시 구역과 영상관으로 구성돼 있다.
‘제1구역(농업 기술의 첫걸음)’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농업 기술‧문화 연대기를 살펴볼 수 있다. ‘제2구역(수원, 농업 혁신의 뿌리)’은 농업에 대한 정조의 업적과 수원에 자리 잡은 농촌진흥청의 태동기를 다뤘다.
이와 함께 ‘제3구역(농업 기술의 열매)’에서는 농촌진흥청 발족 이래 획기적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의 농업 기술 성과를 농업 기초기반, 식량, 원예, 축산 등 분야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4구역(농업이 열어가는 행복과 미래)’에서는 농업이 첨단 과학기술을 만나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해진 미래 농업의 모습을 엿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양호 농촌진흥청 청장은 “‘농업기술역사관’이 우리 농업과 농촌의 소중함을 알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역사관의 관람료는 무료이며, 관람은 주중(오전 9시∼오후 6시)에 개인 또는 단체 관람이 가능하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