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학술교류 직격탄 인천시 대북사업도 ‘휘청’

북한이 수소탄 실험을 강행하면서 인천의 남북교류 활성화 기류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8월 남북합의문 이후 남북 민간교류 사업 재개를 준비하면 올해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 7개 분야 1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6일 밝혔다.

 

대표적인 사업은 ‘강화·개성 고려역사 남북공동 연구 학술회의’다. 시는 올해 강화도 조약 체결 140주년을 맞아 19세기 국제관계 속 강화도 조약의 성격과 운요호 사건의 의의 및 특성, 강화도 조약에 대한 조선지식인 반응, 강화도 조약과 조·청 관계의 변화 등을 토론하는 남북 학술대회를 계획해 왔다.

정확한 시기는 미정이었지만 강화도 조약 체결일인 2월에 맞춰 강화 또는 중국 단둥에서 여는 방안을 놓고 남북이 조율 중이다. 

그러나 이날 북한의 수소탄 실험으로 남북관계가 다시 악화돼 학술대회 개최를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스포츠교류도 폭탄을 맞았다. 시는 지난해 2월 2~4일 중국 사천에서 인천 유나이티드와 북측 4.25체육단, 중국 프로축구단 등이 참여한 인천평화컵축구대회를 열었으며 올해는 축구 외에도 종목을 늘리고 친선대회 횟수를 늘리는 등 스포츠 교류를 확대할 방침이었다.

특히 빠르면 상반기 안으로 축구 친선대회를 준비하고 있었다. 현재로서는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지난해 하반기에도 평양(미확정)에서 인천평화컵축구대회 2차 친선대회를 열려고 했으나 남북관계 악화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대북지원 사업 등 인도적 교류사업도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 시는 경기도와 함께 접경지역에 말라리아 예방·치료 공동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이후 중단됐으나 남북합의문 이후 올해부터 지원사업을 재개하기로 했었다. 시는 통일부 등 정부의 대응을 지켜본 뒤 남북교류 사업 추진 등을 확정 지을 생각이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