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두·이윤생 등 鄭 측근 악영향 미칠라 노심초사
청와대와 정의화 국회의장이 ‘민생 쟁점법안 직권 상정’ 문제 등을 놓고 대립하며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정 의장과 가까운 경기도내 총선 주자들에게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와 주목된다.
지난해 말 쟁점법안 직권 상정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던 청와대와 정 의장은 올초 갈등이 더욱 고조되는 모습이다.
정 의장이 지난 4일 청와대 신년인사회에서 ‘경제법안과 선거법(선거구 획정 문제) 연계처리 불가’ 입장을 이병기 비서실장 등에게 전했다고 기자들에게 밝히자, 청와대가 5일 “우리의 뜻을 왜곡하고 폄훼”, “이미지 정치를 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강력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의장실 관계자는 “법안 직권상정은 법으로 못하게 돼 있다”면서 “의장이 안하는 것처럼 이미지 정치 운운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불쾌한 감정을 감추지 못했다.
6일에는 새누리당 지도부에서 정 의장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은 의장 혼자만 할 수 있는 권능이 아니다. 모든 직권상정은 의회의 다수파와 손발을 맞추지 않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면서 “새누리당은 ‘쟁점법안 처리 없이는 선거구 획정만의 해결은 없다’는 것을 이미 당론으로 정했다”고 말하며 정 의장을 압박했다.
이처럼 갈등이 심화되자 이른바 정 의장과 가까운 총선 주자들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도내 총선 주자 중 이른바 ‘정의화 사람들’은 2014년 6월부터 지난해말까지 1년6개월 동안 국회대변인(1급)으로 활동하며 입 역할을 했던 의왕·과천 최형두 예비주자를 들 수 있고, 이윤생 전 정무기획비서관도 김포 예비주자로 등록해 분구예상지역을 노리며 뛰고 있다.
또한 김성원 정무비서관은 아직 예비후보 등록은 하지 않았지만 양주·동두천이 분구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감안, 고향인 동두천을 기반으로 총선에 출마할 방침이다.
도내 지역은 아니지만 이수원 비서실장은 부산진을 출마 가능성이 높으며, 김성동 전 비서실장은 서울 마포을에 예비후보 등록을 했다.
당 관계자는 “청와대와 정 의장간 불편한 관계와 갈등이 깊어지면 길수록 이른바 ‘친정’(친 정의화) 사람들에게는 좋은 것은 아니다”면서 “유승민 전 원내대표와 가까운 의원들이 걱정하는 그런 걱정을 하게 될 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