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가 한국에서 변이(變異)를 일으킨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보통 단백질과 유전자 등으로 구성되고 이 가운데 바이러스 표면을 이루는 스파이크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은 인체 세포 속으로 들어가 결합, 바이러스를 증식시킨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메르스 진단을 받았던 환자 8명으로부터 채취한 객담 등의 검체를 이용, 메르스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당단백질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변이가 관찰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1번, 2번, 9번, 10번, 12번, 13번, 15번 환자 검체가 사용됐으며 이들이 감염된 메르스 바이러스를 중동에서 유행한 메르스 바이러스와 비교한 결과 전체 당단백질의 8개 부분에서 염기 변이가 있었고 이 가운데 4개에선 아미노산 변이가 관찰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유전자 변이는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것으로, 지난해 국내에 메르스바이러스가 유행하는 동안 유전적 변이가 많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런 변이가 결과적으로 메르스의 감염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