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6·8공구 A1·R1 부지 유찰
A1부지 지구단위계약 세대수 1천859→3천100세대 늘렸건만
시의회, 건설사 입맛따라 개발안 변경땐 사업방향 표류 우려
되돌아온 송도 6·8공구가 갈 곳을 잃고 있다.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는 신탁사에 의뢰한 송도 6·8공구 A1, R1 부지 토지 입찰이 유찰됐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8월 교보증권과 송도 6·8공구 A1, R1 부지 매매계약을 해약한 뒤 도시공사에 재매각, 9월 코람코자산신탁과 토지 처분신탁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지난해 말께 신탁사가 진행한 토지 공개입찰에 응찰한 건설사 및 투자자가 없어 유찰됐다. 특히 A1 부지는 토지 매입에 관심을 보이는 건설사들의 제안(평균 3천19세대)을 받아 지구단위계획 세대수를 원래 1천859세대에서 3천100세대까지 늘렸으나 결국 유찰됐다. 신탁계약이 올해 9월 5일 만료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시간이 넉넉지 않은 상황이다.
시와 도시공사는 공개입찰 대신 부지개발에 의향을 보이는 건설사들과 개별적으로 협상을 거쳐 수의계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규정상 입찰에 유찰됐기 때문에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의계약을 하다 보면 건설사들의 입맛에 따라 개발계획이나 실시계획 등을 바꿀 경우 자칫 송도 6·8공구가 방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 기존 교보증권 컨소시엄의 요구에 따라 A1 부지의 세대수를 줄이고 A3 부지의 세대수를 2천180세대에서 3천200세대로 1천20세대 늘려준 바 있다. 하지만 교보증권 컨소시엄이 A1 부지를 반환하자 시와 도시공사는 A1 부지의 사업성을 높이고자 다시 세대수를 늘렸다. 6·8공구의 계획인구는 이미 포화상태나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또 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송도 6·8공구 대금으로 매년 479억 원씩 총 4천787억 원을 경제자유구역 특별회계에 반환해야 한다. 지난 2012년 경제자유구역 특별회계인 송도 6·8공구를 일반회계로 유상이관하면서 대금을 3년 거치 10년 상환으로 갚기로 했다.
인천시의회도 송도 6·8공구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시의회 자산매각 조사특별위원회는 지난 8일 특위를 열고 “송도 6·8공구 A1 부지의 세대수를 조정해 사업성을 높였는데도 입찰이 유찰됐다”며 “교보증권컨소시엄으로부터 리턴받은 송도 6·8공구를 다시 투자자나 건설사에 끌려다니는 식으로 매각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A1 부지나 R1 부지 실시계획 등을 일부 변경해 사업성을 높이고 투자자의 관심도 높은 상황”이라며 “입찰보다 수의계약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성향을 봤을 때 매각은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