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하물대란 정상화 의식한 듯
업계 “현안 해결위해 전문가 바람직”
정부가 공석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임용에 나서면서 차기 사장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국토교통부는 부서 홈페이지를 통해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공모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신임 사장 임기는 3년으로 직무수행실적 등에 따라 1년 단위 연임이 가능하며,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등에 따른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한다.
국토부는 오는 2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공모를 접수하며 서류심사 및 면접심사를 거쳐 새로운 사장을 선임할 예정이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19일 퇴임한 박완수 전 사장의 후임자 선정을 한 달여 만에 시행하는 것을 두고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는 올 초 발생한 인천공항 수하물 지연사태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앞서 지난 2013년 2월 퇴임한 이채욱 전 사장 이후 후임 정창수 전 사장이 취임하기까지 4개월가량 공백이 발생했으며, 지난 2014년 3월 강원도지사 출마를 이유로 사퇴한 정 전 사장 후임으로 박 전 사장이 취임하기까지는 7개월가량 공백이 있었다.
당초 7대 사장은 4·13 총선 이후 선임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정부가 수장 공백 한 달여 만에 발 빠르게 신임 사장 공모에 나서면서 인천공항 업무 공백이 조기에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가 제시한 사장 자격요건은 △최고경영자 리더십 및 비전제시능력 △조직관리 및 경영능력 △청렴성 및 도덕성 △항공산업 및 공항에 대한 전문성 △공공성과 기업성 등 5가지다. 이 가운데 항공산업과 공항에 대한 전문성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항공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더는 정치인 낙하산 인사보다는 폭증하는 공항 여객수요와 제2여객터미널 개장 등 산적한 현안을 풀어갈 수 있는 전문가 영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