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8조5천억 투입 ‘한반도 허브화’

10개년 발전계획 최종 보고회 신성장·생태환경 등 5대 목표

경기도가 북부지역 발전을 위해 10년간 8조5천718억원을 투입하는 마스터플랜을 전격 공개했다.

 

도는 14일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한반도 번영의 중핵지대, 경기북부’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수도권의 융복합 신성장 거점 △도농 상생의 품격 있는 공동체 △생태환경과 문화관광의 보고 △균형발전과 대륙 연계를 위한 교통인프라 △통일과 번영을 준비하는 평화ㆍ협력의 공간 등이 5대 목표로 설정했다.

 

또 경기북부를 중부권, 서부권, 북부권, 동부권 등 모두 4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특화 사업으로 개발한다. 4개 권역은 교통, 산업ㆍ경제, 환경, 도시ㆍ지역개발, 복지ㆍ교육, 남북관계, 문화ㆍ관광, 농업ㆍ농촌, 법ㆍ제도 등 9개 부문, 73개 사업(183개 세부사업)으로 추진한다.

 

권역별로 중부권(의정부, 양주, 동두천)은 ‘북부발전신성장거점 존(Zone)’으로 정하고 패션ㆍ섬유ㆍ가구 디자인 특화산업 육성과 반환공여지의 전략적 개발 사업 등을 시행한다. 서부권(고양, 파주)은 ‘통일산업경제발전 존’으로 설정, 테크노밸리 조성, 한류관광거점 구축, 개성공단지원 물류단지 조성 등의 사업들을 반영했다.

 

북부권(포천, 연천)은 인근 지자체인 강원도 철원군과 연계해 ‘통일생태평화 존’으로 설정, 임진강ㆍ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지정, 통일교육특구 설정,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동부권(구리, 남양주, 가평)은 인근 지자체인 강원도 춘천시와 연계해 ‘북한강 문화예술 존’으로 묶어 북한강변 문화예술 코리더 조성, 조선왕릉 역사 속 한걸음 트레킹, 느림의 미학 생활체험관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도는 국비와 지방비, 민간자본, 기금 등 모두 8조5천718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교통부문이 2조7천526억원(32.1%)으로 가장 많고 이어 산업ㆍ경제부문 2조4천143억원, 환경 1조6천783억원, 도시ㆍ지역개발 5천302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