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밸리 기반… 스타트업 창업·해외진출 활성화
성남 판교에 국내외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의 창업 허브가 될 ‘아시아판 실리콘밸리’가 조성된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6개 부처는 18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성남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을 주제로 열린 합동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보고했다.
미래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지역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성남 판교와 서울 상암에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융합 사례로 창업·문화콘텐츠 허브가 만들어진다.
판교는 스타트업캠퍼스와 앞으로 조성될 창조경제밸리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의 창업과 해외 진출, 해외 유망 스타트업의 창업이민(국내 정착) 등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의 창업자들을 불러들여 이들의 창의성과 기술력이 사업화로 꽃 피울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미래부의 목표다.
상암은 DMC와 누리꿈스퀘어 등을 중심으로 VR, 홀로그램, 컴퓨터그래픽(CG), 3차원(3D) 영상 등의 첨단기술과 창의적인 스토리가 만나 디지털 문화콘텐츠를 생산ㆍ수출하는 거점이 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 상품 역직구 쇼핑몰인 ‘K-몰 24’에 우수 문화·한류상품을 입점시키기로 했다. 문화예술·카지노·쇼핑·컨벤션ㆍ숙박이 결합된 한국형 테마 복합리조트를 조성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등 핵심성장 분야에 대출 49조원, 보증 23조원, 투자 8조원 등 총 80조원의 정책자금을 올해 공급한다.
분야별로는 창조경제에 72조4천억원, 문화융성에 7조2천억원이 배정됐다. 창조경제 분야로는 스마트카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수술로봇 등 바이오·헬스, 전기차 등 에너지 신산업, 탄소섬유 등 첨단신소재, 화장품 등 고급 소비재 등이 대표적이다. 문화융성 분야에는 소프트웨어, 게임, 광고, 영상, 캐릭터, 방송, 공연, 출판, 디자인, 영화, 관광 등이 포함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내년 2월 세계 최초로 지상파 초고해상도(UHD) 방송을 개시하고, 빅데이터·사물인터넷·클라 우드 등 차세대 유망산업의 사업자가 당사자 신상이 구별되지 않는 개인정보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복지부는 외국인환자 40만 명 유치를 목표로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도서·벽지, 농어촌, 군부대 등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원격의료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첨단 바이오의약품 육성 등을 통해 글로벌 50대 제약기업에 들어가는 한국 제약사를 배출하기로 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