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제역 재앙 되풀이 안되게 강력 차단해야

지난주 전북 김제와 고창에서 돼지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경기지역 축산농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2014년 말 충북 진천에서 발생해 이듬해 4월까지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 공포가 9개월 만에 다시 덮친 것이다. 구제역 종식 선언 6개월여 만에 재발하면서 농가들은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맹추위 속에 방역에 여념이 없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구제역 위기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하고 방역 작업을 강화하고 있다. 경기도도 상황실을 꾸려 2인 1조의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농장들은 전국에서 오고 가는 차량들 탓에 언제 구제역이 뚫릴지 몰라 노심초사하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더구나 설을 앞두고 축산물 유통이 급증하는 시기라 걱정이 더 크다.

구제역의 전파ㆍ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초동대처가 중요하다. 처음 발생시 제대로 대응을 못해 축산농가를 초토화 시키고 전국적으로 3조원의 피해를 낸 2010년 구제역의 악몽을 잊어선 안된다. 이때 구제역으로 35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살처분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서둘러 비상 방역체계를 가동해 초기 차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구제역은 바이러스 질병이어서 전염성이 강하다.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 지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당국은 구제역 발생 지역에서 인접 시ㆍ도로 통하는 모든 도로에서 사람과 가축의 이동을 감시ㆍ통제하고 도축시설이나 가축 분뇨처리장 등의 위생 상태도 세심하게 점검해야 한다. 농장주와 해당 지역 주민들은 사육 농가의 출입제한이나 이동 차량의 방역 등에 최대한 협조해야 한다. 특히 인근 지역 농장의 백신 접종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 전염을 막아야 한다. 구제역 발생 돼지농장에 사료를 공급한 업체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이 업체 사료를 받는 다른 농장에 대한 소독과 예찰도 강화해야 한다.

한편 구제역이 왜 발생하게 됐는지도 진단해봐야 한다. 농가에서 백신 접종을 제대로 했는지, 백신의 보관ㆍ관리에 문제는 없었는지, 백신의 효능에는 이상이 없는지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과거 ‘물백신’ 소동으로 대혼란을 겪은 사례가 있다.

되풀이되는 구제역 발생에 당국은 2015년 7월 사전 예방적 상시 방역체제로 구제역 방역 대책을 개편했다. 이번에 그 성과가 드러나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구제역이 확산되고 사태가 장기화되면 축산농가의 설 자리가 위태로워진다. 가뜩이나 힘겨운 경제에 또 다른 악재가 될 수 있다. 축산농가와 지자체, 당국이 합심해 구제역 조기 종식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