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영흥공원 민간개발, 지역업체 ‘찬밥신세’

우선사업자 선정, 사업능력 평가방식 등 대기업에 유리
‘40점 격차’ 두고 경쟁 불가피… 타 지역 대형업체 잔치 우려

수원 영흥공원 민간개발 조성공사 사업을 위해 개최한 사업설명회를 놓고 잡음(21일자 6면)이 일어난 가운데 수원시가 우선사업자 선정에 있어 지역업체를 외면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비판에 시는 뒤늦게 정정공고를 냈지만, 이마저도 생색내기에 그친 것 아니냐는 지역업체들의 볼멘 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시는 이달 초 수원 영흥공원 민간개발 조성사업을 위해 우선사업자 공모공고를 냈고 이에 따른 사업자 선정기준을 제시했다. 그러나 시가 정한 선정기준을 두고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대기업을 위한 평가방법에 지역업체들을 배제했다”며 강력 반발에 나섰다.

 

시는 평가 총점 1천점 중 사업능력(100점)의 평가 기준을 ‘조경시공능력평가액’으로 정했는데 100점 만점을 받을 수 있는 업체가 경기도내 248곳 중 3곳밖에 안될 만큼 대다수 지역업체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서다. 더욱이 수원 지역업체 21곳을 포함, 도내 업체 97% 가량인 241곳이 기본점수인 60점 밖에 못 받는 실정이다.

 

이 같은 불만의 목소리가 사업설명회 이후 여기저기서 터져나오자 시는 21일 평가항목 중 공공기여 부분에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30점)’를 부랴부랴 추가해 수정 공고안을 공개했다. 대형 건설사가 지역업체를 끌어들여 사업자 신청시 가점을 주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공고 수정에도 여전히 지역 업체들의 반발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사업자 선정에 있어 당락을 결정하는 ‘사업능력’에 대한 언급은 쏙 빼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된 가점의 경우 지역업체 참여 지분율이 15%시 만점을 준 탓에 큰 의미없는 가점이라고 지적했다.

 

한 지역업체 관계자는 “결국 대형 건설사끼리 합종연횡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구색맞추기에 들러리밖에 안될 것”이라며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사업능력 평가를 바꾸지 않는 등 정작 중요한 선정 기준은 손보지도 않았는데, 도대체 무슨 수정 공고안인지 모르겠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시 관계자는 “해당 사업이 아직 진행중인 만큼 구체적인 답변을 하기 곤란하다”며 “많은 관심을 받는 사업인 만큼 공정한 절차를 통해 건실한 업체를 선정하겠다”고 해명했다. 

이명관·조철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