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식이요법 등 건강한 방법을 통해 살을 빼려는 사람도 있지만, 단식이나 약물 섭취 등으로 단기간에 살을 빼려는 사람들도 많다.
이런 잘못된 다이어트는 식사장애, 식용부진증, 대식증 등 건강헤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식사장애 환자 90%는 여성
식사장애란 음식과 체중에 대한 강박관념을 말한다. 누구나 자신의 몸무게에 대해서 때로 걱정을 하지만, 식사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극도로 피하려고 한다.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신경성식욕부진증’과 ‘신경성대식증’이 있다. 식사장애 환자의 90%는 여성이며, 주로 10대에 시작되지만 8세 정도의 어린 나이에서도 시작될 수 있다.
식사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가능한 원인으로는 생활 중에서 무언가에 대해 억압받고 있는 감정이나 자제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감정을 들 수 있다. 또 날씬한 것을 맹목적으로 따르고 있는 사회의 분위기도 원인에 기여할 수 있다.
■ 과도한 다이어트로 체중을 지나치게 줄이는 식욕부진증
식욕부진증을 가진 사람들은 날씬해지려고 하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이런 환자들은 먹으려 하지 않고 살이 찌는 것을 두려워한다. 이들은 음식에 얼마나 많은 칼로리가 들어 있는지 얼마나 많은 지방이 포함돼 있는지에 대해 매우 집착하고, 체중을 줄이기 위해 살 빼는 약이나 변비약과 이뇨제를 복용하거나 지나친 운동을 하기도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로 말랐어도 스스로 살이 쪘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지나치게 말라서 외관상 몸이 불편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지속적으로 살을 빼기위해 노력한다. 이런 증상을 방치하면 위장 장애, 심장 질환, 생리 불순이나 무월경, 얼굴을 포함해 전신의 유약한 체모, 피부가 건조하고 꺼칠해지는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폭식 후 구토나 설사제 복용 등을 반복하는 대식증
보통 대식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폭식을 한 뒤 토해 내거나 변비약를 사용해 몸속의 음식물을 제거한다. 어떤 환자들은 폭식 후에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굶거나 과도한 운동을 하기도 한다.
또 이뇨제, 하제, 살 빼는 약을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 환자들은 보통 이러한 폭식이나 제거 행동을 숨기려고 하고, 폭식하기 위한 음식을 숨겨놓기도 한다. 폭식과 토해내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체중을 유지하지만 체중이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한다. 대식증은 위장 장애는 물론 심장 질환, 신장 질환, 치아 질환(위산의 구토로 인함), 탈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적절한 영양섭취에 대한 치료와 개인 및 가족 상담 등으로 치료
자신이 먹는 것과 운동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바람직한 행동이다. 문제는 스스로의 체중과 먹는 것에 대해 항상 걱정을 한다는 것이다.
식사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체중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인해 스스로의 신체에 해를 가하게 된다. 식사장애는 치료될 수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서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정상체중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만일 영양부족상태이거나 너무 말랐다면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
또 가깝게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그들의 삶에 관한 문제와 체중에 대한 감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가족의 보살핌이 가장 중요한데 △식사 후에 토하는 것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얼마나 먹었는지에 대해 거짓말하는 것 △실신 △지나친 운동 △무월경 △체중에 대한 걱정 증가 △심한 구토로 인한 손가락 관절에 굳은살이나 흉터 등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식사장애를 의심하고 전문의의 도움을 받게 해야한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