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여론조사 미합의 지역구는 100% 국민 경선”

총선후보 경선 방안 발표… 시·도별 1~3곳 우선추천제 적용
20일부터 공천면접… “신인·영입인사에 일방적 유리” 비판도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4·13 총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과 관련, 당원 대 일반국민 30% 대 70%에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100% 일반국민 경선’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또한 우선추천지역과 관련, 모든 광역시·도에서 최소한 1~3곳을 선정해 소수자를 배려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대 총선 후보 경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 위원장은 “우선추천지역은 가능한 빨리 결정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절차상으로는 추가공모나 재공모하는 방법을 택할 것이며, 단수추천지역도 적격심사를 한 결과 부적격이 되면 우선추천지역으로 전환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 경선 방식과 관련, “지역구마다 후보자들 간에 합의가 되면 당원 대 일반국민 비율 여론조사 경우 3:7 그대로 가져간다”며 “합의가 안 될 경우에는 신인들의 입장을 고려해서 원칙적으로 공관위가 개별 지역구 사정을 감안해서 일반국민 경선 100%로 하도록 할 생각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역 의원 또는 당협위원장을 중심으로 많은 책임당원을 확보한 경우가 있고, 이들이 당을 위해 중요한 일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국민경선시스템을 도입하는 상황에서 신인들에게 지나친 차별이 있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공관위는 일단 정치적인 신인들이 지역구의 당원들의 관계되는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안심번호로 전환한 지역구 당원번호도 18일 일괄 배부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런 방침이 적용될 경우 당 기여도를 무시한 채 정치 신인, 특히 외부 영입인사들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경선이 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될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공관위는 자격심사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은 “엄격한 기준에 따라 상당한 정도 자료를 확보해서 질적인 평가를 통해 부적격자를 가려내겠다”면서 “부적격자의 수준에 대해서는 최대한 과거 어느 때보다도 높은 수준을 요구할 것이라는 점은 약속한다”고 밝혔다.

 

공관위는 이같은 방침을 오는 18일 최고위원회에 보고할 계획이나 당 지도부의 최종확정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16일 공천신청 접수를 마감한 공관위는 18일 시도당위원장, 사무처장들 통해서 전국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공천심사 자료 정리를 한 뒤 20일부터 본격적인 면접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